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유형연구
이용수 23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yl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practices: Q methodological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진홍(Park Jin Hong) 서현아(Hyunah Seo)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17권 제1호, 75~9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교육실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대한 기초자료를 대학기관과 교육실습 기관에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실습에 대한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예비유아교사 245명의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응답한 742개의 진술문을 범주화, 분석하여 최종 40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Q-표본을 44명의 예비유아교사에게 9단계로 Q-분류하도록 하였으며, 분류한 자료를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인성에 대한 인식유형은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각 유형을 ‘이론 적용형’, ‘진로고민의 기회 및 걱정형’, ‘새로운 배움으로서의 성장형’, ‘교사로서의 준비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4가지 유형의 교육실습 이미지는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 모두 보이고 있지만 교육실습에 대한 여러 가지 이미지를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actices into different styles, an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yl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were reviewed and an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Q population was formed. Within that population, 40 Q samples were drawn, upon which Q cards and Q distribution were based. Second, 44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were attending colleg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were selected and designated as P samples. Third, Q cards were sorted and the reasons why the 44 students agreed most with some statements and least with other statement. Fourth, data were treat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QUANL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actices had four sty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styles, the first style was “the application of theories,” the second style was “the opportunity of future career considerations and concerns,” the third style was “growth through new learning,” and the fourth style was “preparation for being a professional teach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술기반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적 쟁점: 만화소설 형식의 논문 작성을 중심으로
- 디지털/AI 교육 시대 성공적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심화전공 탐색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