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원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76
- 영문명
-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Graduate Schools i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석열(Lee, Suk Yeol)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9권 제3호, 203~22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대학원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는데, 특히 지역별 관점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원 운영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방법은 대학정보공시에 있는 대학원 통계분석(2008년~2020년)을 시계열적인 차원에서 분석하였고, 일반대학원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자 185개 일반대학원 중 106개(58.6%)를 대상으로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대학원 제도 개선을 위해서 대학원장 120명과 대학평가위원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총 101명 응답, 59.4%)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일반 대학원 학생 수가 수도권에 더 많고 외국인 학생도 점차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다. 신입생 모집 비율을 보면 석사과정에서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타대학 출신이 훨씬 많은 것으로 보아 비수도권에서 수도권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유동인구가 많다고 볼 수 있다. 설문조사에서도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서 연구능력이 신장되고 대학원 교육의 질적인 우수성이 높다고 인식을 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operation status of graduate schools and suggest future improvement methods, especially in terms of comparing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graduate schools. This study analyzed longitudinal graduate schools data from 2008 to 2020, which is provided by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order to understand operational status of graduate schools, the data of 106 out of 185 graduate
schools(58.6%) were analyzed.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120 deans of graduate schools and 50 University Evaluation Committee members to investigate improvement methods for graduate school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of graduate students is higher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foreign students are also increasingly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survey result also indicates that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higher quality of graduate education program compared to non-metropolitan areas.
목차
Ⅰ. 서론
Ⅱ. 대학원 교육의 개요 및 통계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NCS 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강사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평생교육기관의 민주시민교육 현황과 발전과제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 대학의 평생교육적 구조 전환 -‘고등평생교육체계’의 관점에서 -
- 시·도교육청별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
- 대학생의 창업교육동기가 창업교육기대성과 및 성격 5요인에 미치는 영향: 사람중심접근법을 중심으로
- 중국 여성 평생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평생학습 역량, 삶의 질, 학습만족도 관계 연구
-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환경과 기대효과 탐색
- 캐나다 지리교육과정의 내용 분석과 주요특성: 온타리오주를 중심으로
- 군(軍)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 2005~2020년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참학력 기반 고등학교 운영사례를 통한 혁신교육과정 분석
-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원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