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군(軍)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 2005~2020년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122
- 영문명
- Status of Military Group Counseling Program Research : Focusing on Domestic thesis and Academic journals from 2005 to 2020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방상옥(Bang, Sang Ok) 우정(Woo, J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9권 제3호, 225~2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군(軍)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의 경향성을 탐색하고 향후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의 질적향상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 1일부터 2021년 5월 31일까지의 ‘군 집단상담 프로그램’연구 대상물 총 76편을 선정한 뒤, 선행연구에 기반한 이론적 분석 준거틀을 구성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2019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참여집단은 ‘육군’, 참여대상은 ‘병사’로 이루어진 연구가 가장 많았다. 집단설계는 ‘실험·통제’집단설계가 5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집단인원은 ‘10~15명’, 집단회기는 ‘6-10회’, 운영횟수는 ‘주 1회’, 회기 당 운영시간은 ‘120분~150분 미만’이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유형을 살펴본 결과 ‘상담이론 및 기법’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종속변인 유형 중 효과성을 나타낸 변인은 ‘심리·정서’와 관련된 유형이 가장 두드러졌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와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안내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military group counseling program research and provide the data that improve the quality of future program development and research. A total of 76 research subjects for the ‘military group counseling program’ from January 1, 2005 to May 31, 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constructing a framework for theoretical analy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Between 2015 and 2019’,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an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mposed of ‘the Army group and soldiers’. As for the group design, the ‘experimental·control’ group design was the largest with 56 cases. The most number of group members was‘10 to 15 members’, ‘6-10 sessions’ for group sessions, and ‘once a week’ for group sessions, ‘120 minutes to less than 150 minutes’ per session. Also, the most salient program was based on ‘counseling theory and technique’ in the program category. Among the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the
most prominent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emotional’.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ed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guidelines for follow-up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NCS 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강사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평생교육기관의 민주시민교육 현황과 발전과제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 대학의 평생교육적 구조 전환 -‘고등평생교육체계’의 관점에서 -
- 시·도교육청별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
- 대학생의 창업교육동기가 창업교육기대성과 및 성격 5요인에 미치는 영향: 사람중심접근법을 중심으로
- 중국 여성 평생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평생학습 역량, 삶의 질, 학습만족도 관계 연구
-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환경과 기대효과 탐색
- 캐나다 지리교육과정의 내용 분석과 주요특성: 온타리오주를 중심으로
- 군(軍)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 2005~2020년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참학력 기반 고등학교 운영사례를 통한 혁신교육과정 분석
-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원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