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환경과 기대효과 탐색

이용수  467

영문명
Exploring the environment and expected effec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황연우(Hwang, Yeon U) 유평수(Yu, Pyeong Su)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9권 제3호, 47~6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환경과 기대효과를 탐색하여 정책 추진 방안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전주시 일반계 고등학교 일반교사 93명과 진로교사 31명에게 고교학점제 환경과 기대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4.0 프로그램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교학점제 실행 환경과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수준은 4.0 이하였고 진로교사가 3.96 ~ 3.75, 일반교사가 3.65 ~ 3.14였다. 인식 수준은 정책의 내용이해, 수용 태도, 시행 의지 및 여건, 기대효과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부장교사, 진로진학상담 전공, 부전공이 있는 교사가 고교학점제 실행 환경과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고교학점제 인식 제고와 실행을 위해 방안으로 학교와 교육지원청의 협력으로 컨설팅 장학을 실시하고, 진로전담교사의 역량 강화와 인력 확충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licy implementation plan by exploring the environment and expected effects for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93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nd 31 career teachers in Jeonju, Jeonbuk-do Province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nvironment and expected effec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and expected effect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less than 4.0, and for career teachers, 3.96 to 3.75, and for general teachers, 3.65 to 3.14. Awareness level was lowered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of policy content, acceptance attitude, will and conditions for implementation, and expected effect. Also,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mplementation environment and expected effects was higher among the head teachers, career counseling majors, and teachers with double majors. As a way to raise awareness and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onsulting supervision were provided in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Support, and it was proposed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teachers in charge of careers and expand human resources.

목차

I.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연우(Hwang, Yeon U),유평수(Yu, Pyeong Su). (2021).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환경과 기대효과 탐색. 교육종합연구, 19 (3), 47-67

MLA

황연우(Hwang, Yeon U),유평수(Yu, Pyeong Su).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환경과 기대효과 탐색." 교육종합연구, 19.3(2021): 47-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