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CS 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강사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56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NCS-based Curriculum on Self-Efficacy : Moderating Effect of Faculty s Competency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희성(Kim, Hee S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9권 제3호, 159~17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NCS 기반 교육과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NCS 교강사 역량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A대학교 재학생 중 취업지원본부내 NCS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NCS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NCS 수업내용이 충실할수록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NCS 교강사 역량은 NCS 인식수준 및 수업내용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할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며, 대학이 NCS 기반 교육과정을 담당하는 교강사의 역량이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역량 향상 방안을 모색하거나 역량이 확보된 교강사를 활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 of NCS-based curriculum on self-efficac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culty’s competency.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A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based on NCS.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NCS-based curriculum has an effect on enhancing the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recognition of NCS and the more faithful the content of NC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Next, the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NCS-based curriculum by moderating effect of faculty’s competency. The study’s results show that universities should focus on developing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that based on NCS. The NCS faculty must make efforts to show their excellent competency for NCS-based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NCS 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강사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평생교육기관의 민주시민교육 현황과 발전과제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 대학의 평생교육적 구조 전환 -‘고등평생교육체계’의 관점에서 -
- 시·도교육청별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
- 대학생의 창업교육동기가 창업교육기대성과 및 성격 5요인에 미치는 영향: 사람중심접근법을 중심으로
- 중국 여성 평생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평생학습 역량, 삶의 질, 학습만족도 관계 연구
-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환경과 기대효과 탐색
- 캐나다 지리교육과정의 내용 분석과 주요특성: 온타리오주를 중심으로
- 군(軍)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 2005~2020년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참학력 기반 고등학교 운영사례를 통한 혁신교육과정 분석
-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원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