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참학력 기반 고등학교 운영사례를 통한 혁신교육과정 분석

이용수  98

영문명
Analysis of High School Innovation Curriculum Based on Authentic Achievement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김은순(Kim, Eun Soon) 민재원(Min, Jae Won) 정덕호(Chung, Duk Ho) 권인탁(Kwon, In Tak)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9권 제3호, 247~27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북지역 참학력 기반 고등학교의 운영사례 분석을 통해 혁신교육과정의 구현 양상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4개 혁신고교를 선정, 혁신교육과정 운영계획서를 토대로 교장 및 담당교사 8명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참학력 기반 고등학교의 혁신교육과정 구현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따뜻한 학교공동체 조성은 (1)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지도, (2) 따뜻한 학교풍토를 위한 등굣길 기운주기 및 사제동행 멘토링, (3) 인간의 존엄성을 인정하는 학교 문화, (4) 함께 도움을 주고받는 경험문화 프로그램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민주적 자치공동체 구축은 (1) 열린 학교 운영, (2) 민주적 학생문화 형성, (3) 지역사회 교육네트워크 구축, (4) 민주적 의사결정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은 (1) 수업혁신, 수업공개 및 컨설팅, (2)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계발 지원, (3) 전문가 초청 강연 및 전문성 신장 연수, (4) 수업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공동체 구축 및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참학력 기반 혁신교육과정 운영은 (1) 교육과정 혁신, (2) 수업 혁신, (3) 평가 혁신, (4) 진로집중 교육과정 운영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urriculum of innovative high schools and explored ways to implement the innovative high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authentic achievement.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our innovative high schools in Jeonbuk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rincipal and eight teachers in charge on the operation of the innovative curriculu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rogram was being operated to form a school culture that respected and helped each other so that a positive self-concept could be formed in order to build an inclusive school community. Second, to create a democratic autonomous community, a program for democratic decision -making was being operated based o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of students, teachers, parents, and the local community. Third, for the operation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lectures by experts, teacher training, and programs to support club activities were being operated. Fourth, an innovative curriculum based on authentic achievement in education was being operated through innovation in curriculum, class, and eval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전북지역 고등학교의 혁신교육과정 편성 사례 분석
Ⅴ. 전북지역 고교 참학력 기반 혁신교육과정 구현 양상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순(Kim, Eun Soon),민재원(Min, Jae Won),정덕호(Chung, Duk Ho),권인탁(Kwon, In Tak). (2021).참학력 기반 고등학교 운영사례를 통한 혁신교육과정 분석. 교육종합연구, 19 (3), 247-274

MLA

김은순(Kim, Eun Soon),민재원(Min, Jae Won),정덕호(Chung, Duk Ho),권인탁(Kwon, In Tak). "참학력 기반 고등학교 운영사례를 통한 혁신교육과정 분석." 교육종합연구, 19.3(2021): 247-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