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세계이해 논술형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231
- 영문명
- Designing and validating writing tasks to assess college students’ global understand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함은혜(Eun Hye Ham) 심우정(Woo-jeong Shim) 박소영(So-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59권 제5호, 107~13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의 세계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논술형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세계이해는 세계의 다양한 문화, 경제, 정치 등의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상호의존적 공동체 특성을 인식하여 국제이슈를 해석·탐구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에, 글로벌 환경에서 국가 혹은 지역 간 이해관계나 가치가 충돌하는 상황을 분석하도록 논술형 과제를 설계하였다. 대학생 340명이 논술형 과제 수행에 참여하였으며, 개발된 채점기준표에 따라 11명의 채점자가 채점하였다. 산출된 자료를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의존성 인식 영역에서 난이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지구적 가치 추구의 중요성 인식’이었으며, 난이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다양한 입장과 견해를 고려한 갈등상황 인식’이었다. 둘째, 국제이슈 탐구 영역에서 난이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자신의 가치 제시’였고, 난이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자신의 견해에 대한 다각적 검토’였다. 셋째, 주제유형에 따라 채점항목의 난이도가 달랐다. 구체적으로 환경·기술형 과제보다 사회·문화형 과제의 난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논술형 평가도구를 통해 확인된 학생들의 세계이해 수준은 문제해결 전략, 의사소통 전략과는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한 개방성 점수와는 상관이 없었다. 상기의 결과에 기반하여, 세계이해를 포함한 대학생 역량 측정 관련 후속연구 및 대학생의 글로벌역량 교육을 위한 과제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writing tasks and a scoring rubric to measure college students’ global understanding. Global understanding in this study was conceptualized as the ability to conduct a multi-perspective analysis of global issues while being aware of interdependence in global communities. A short writing task prompted students to analyze a real-world global issue on either of two broad topic areas, one socio-cultural and the other techno-ecological, and to present their own perspective. Writings from 340 college students were assessed by 11 graders based on a checklist-type rubric of two scoring dimensions-global interdependence awareness and multi-perspective analytic ability. The results of a many-facet Rasch analysis showed the lowest-difficulty parameter in the dimension of global interdependence awareness was found to be ‘awareness in the importance of pursuing universal values’ while the highest in difficulty was ‘consideration of multiple perspectives.’ The item with the lowest-difficulty parameter in the multi-perspective analytic ability dimension was ‘whether to be capable of presenting own opinions,’ and the highest in the difficulty parameter was ‘whether to be able to evaluate own view in light of multiples perspectives.’ Scholarl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분석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졸업문집을 통해서 본 노년 학습자들의 학교경험 분석: 중학 학력인정 문해교육 졸업자 중심으로
- 간호학생의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 OECD 교육 2030의 역량 설계 원리에 대한 고찰: IBDP 설계 원리를 중심으로
- 다문화적 교사효능감과 다문화교육 실행의 관계에서 학교장 리더십의 조절효과 탐색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협동심 간의 관계에서 부모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중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도 유형 분류와 관련 변인 분석
-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한 대학생의 행복감 영향 요인 분석
-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기조직적(Self-organizing) 교육 거버넌스(Governance) 구축의 원리로서의 실천공동체(CoP): 미래형 교육자치 협력지구 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평생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시민교육의 과제 : 확장에서 혁신과 통합으로
- 교육정책 연구의 개념적 분석틀로서 Foucault의 통치성
- 대학생 세계이해 논술형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와 방향에 관한 소고
- 연구학교 운영 과정에 나타난 참여교사의 불순응 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