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학생의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이용수 626
- 영문명
- Experience of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and standardized patients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윤지아(Yun, Jiah) 강인순(Kang, In-Soon) 손민서(Son, Min-Seo)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59권 제5호, 31~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간호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 대학교 4학년 간호학생 중 1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Elo and Kyngas(2008)에 기반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공통적으로 경험한 주제는 ‘집중하기 어려움’, ‘실습 환경에 몰입’, ‘부정적인 심리변화’, ‘긍정적인 심리변화’, ‘간호역량의 향상’ 이었다. 고충실도 환자 모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에서만 경험했던 주제로는 ‘임상수행능력의 향상’, ‘실습환경의 생동감이 떨어짐’ 이었으며,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에서만 경험했던 주제로는 ‘의사소통의 생생함’, ‘제한된 직접 간호 술기’, ‘SP 역할 숙련도’ 이었다. 간호학생들은 시뮬레이션 실습을 예비 간호사의 역량을 함양시키는 과정으로 인식했지만, 몰입감, 부담감과 한계 및 몇 가지 제약의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시나리오의 개발, 효율적인 커리큘럼 운영을 위한 논의, 학습 효과 극대화를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ind of experiences nursing student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and standardized patients.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9 4th-year nursing students of D University were conducted. After the interview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method proposed by Elo and Kyngas (200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pics commonly experienced in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and standardized patients were: ‘Difficulty to concentrate’, ‘Immersion in the practice environment’, ‘Negative psychological change’,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and ‘Improvement of nursing capacity’. The topics experienced only in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were: ‘Improvement of clinical performance capability’ and ‘Insufficiency of reality in the practice environment’. The topics experienced only in simulation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were: ‘The vividn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limited direct nursing skills’, and ‘SP s role proficiency’. Nursing students perceived the simulation practice as a process to cultivate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nurses, but experienced difficulties in immersion, burdens and limitations, and several restrictions. For efficient simulation practice train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cenarios, discuss efficient curriculum operation, and create an environment to maximize learning effe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졸업문집을 통해서 본 노년 학습자들의 학교경험 분석: 중학 학력인정 문해교육 졸업자 중심으로
- 간호학생의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 OECD 교육 2030의 역량 설계 원리에 대한 고찰: IBDP 설계 원리를 중심으로
- 다문화적 교사효능감과 다문화교육 실행의 관계에서 학교장 리더십의 조절효과 탐색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협동심 간의 관계에서 부모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중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도 유형 분류와 관련 변인 분석
-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한 대학생의 행복감 영향 요인 분석
-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기조직적(Self-organizing) 교육 거버넌스(Governance) 구축의 원리로서의 실천공동체(CoP): 미래형 교육자치 협력지구 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평생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시민교육의 과제 : 확장에서 혁신과 통합으로
- 교육정책 연구의 개념적 분석틀로서 Foucault의 통치성
- 대학생 세계이해 논술형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와 방향에 관한 소고
- 연구학교 운영 과정에 나타난 참여교사의 불순응 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