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협동심 간의 관계에서 부모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736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oopera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조영희(Younghee Cho) 백아롱(Ah-Rong Beik)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59권 제5호, 185~21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협동심 간의 관계에 부모관계와 교사관계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중학교 1학년 2,590명(남학생 1,405, 여학생 1,185)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부모관계, 교사관계, 협동심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다집단 분석을 통한 성차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아존중감은 협동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자아존중감과 협동심 간에 부모관계와 교사관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협동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부모관계와 교사관계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부모관계보다 교사관계의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집단분석을 통해 살펴본 성별 간 경로 차이는 자아존중감이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관계, 교사관계의 매개효과와 성별 간 차이에 대해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olescents and their teachers; and gender differenc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ooper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parental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cooperation were revealed using 2,59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1,405 male students, 1,185 female students) response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Multi-group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gender differences. Results showed self-esteem’s direct effect on coope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ooperation. Self-esteem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the cooperation of early adolescents,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parental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relationship was greater than parental relationship. Lastly, gende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only in the effect of self-esteem on coope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relationship,teacher relationship,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early adolescents self-esteem on cooperation.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졸업문집을 통해서 본 노년 학습자들의 학교경험 분석: 중학 학력인정 문해교육 졸업자 중심으로
- 간호학생의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 OECD 교육 2030의 역량 설계 원리에 대한 고찰: IBDP 설계 원리를 중심으로
- 다문화적 교사효능감과 다문화교육 실행의 관계에서 학교장 리더십의 조절효과 탐색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협동심 간의 관계에서 부모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중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도 유형 분류와 관련 변인 분석
-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한 대학생의 행복감 영향 요인 분석
-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기조직적(Self-organizing) 교육 거버넌스(Governance) 구축의 원리로서의 실천공동체(CoP): 미래형 교육자치 협력지구 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평생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시민교육의 과제 : 확장에서 혁신과 통합으로
- 교육정책 연구의 개념적 분석틀로서 Foucault의 통치성
- 대학생 세계이해 논술형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와 방향에 관한 소고
- 연구학교 운영 과정에 나타난 참여교사의 불순응 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