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적 교사효능감과 다문화교육 실행의 관계에서 학교장 리더십의 조절효과 탐색
이용수 317
- 영문명
-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leadership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self-efficacy and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구하라(Ku, Hara) 김지현(Kim, Jihyun)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59권 제5호, 247~27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주배경 학생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학교현장에서 다문화교육 실행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다문화교육이 어떠한 조건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 수준의 다문화적 교사효능감과 다문화교육 실행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학교 수준의 학교장 문화감응적 리더십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다양성 교육현황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43개 초·중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979명를 대상으로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행과 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관계는 학교장의 문화감응적 리더십 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적 교사효능감과 다문화교육 실행 간의 정적인 관계를 실증적으로 보여주었고 다문화교육 실행에 있어 교사 수준의 전문성 뿐만 아니라 학교장 수준의 전문성, 즉 문화감응적 리더십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해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이 실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As the number of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increases, it is becoming crucial to understand how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even though the extant literature on this is limited.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teachers self-efficacy in multicultural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their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ow principals culturally responsive leadership moderates such association. We employ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979 teachers working at 43 schools to answer this question. We found evidence of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efficacy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implementation of it. In addition, we found a positive and significant moderator effect of principals’ culturally responsive leadership. That is, we found that support from principals can boost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self-efficacy and their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 show empirical evidence that supports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self-efficacy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as well as how principals’ leadership can affect this relationship.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III. 분석방법
IV.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졸업문집을 통해서 본 노년 학습자들의 학교경험 분석: 중학 학력인정 문해교육 졸업자 중심으로
- 간호학생의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 OECD 교육 2030의 역량 설계 원리에 대한 고찰: IBDP 설계 원리를 중심으로
- 다문화적 교사효능감과 다문화교육 실행의 관계에서 학교장 리더십의 조절효과 탐색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협동심 간의 관계에서 부모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중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도 유형 분류와 관련 변인 분석
-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한 대학생의 행복감 영향 요인 분석
-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기조직적(Self-organizing) 교육 거버넌스(Governance) 구축의 원리로서의 실천공동체(CoP): 미래형 교육자치 협력지구 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평생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시민교육의 과제 : 확장에서 혁신과 통합으로
- 교육정책 연구의 개념적 분석틀로서 Foucault의 통치성
- 대학생 세계이해 논술형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와 방향에 관한 소고
- 연구학교 운영 과정에 나타난 참여교사의 불순응 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