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네트형 게임의 실행 경험과 교육적 의미

이용수  80

영문명
Implementing experience of net-type games in elementary school using a tactical games approach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천종문(Cheon, Jong-Mun) 홍덕기(Hong, Deock-Ki)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6권 제4호, 47~6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형 게임수업 개선을 위해 전술게임수업모형(Tactical Games Approach)을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한 교사의 경험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를 비롯한 연구 참여자는 맑음초등학교 5학년 학생으로 2018년 23명(남: 10명, 여13명), 2019년 23명(남: 14명, 여: 9명)이며, 총 8명의 주제보자를 선정했다. 주요 자료는 인터뷰, 관찰, 문서자료 등 3단계에 걸쳐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Spradley(2003)의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교사의 수업 실행 경험 측면과 학생의 교육적 의미 측면을 드러냈다. 첫째, 교사의 경험 측면은 ‘랠리 유지를 위한 협동게임 도입’, ‘전술의 계열성 확보를 위한 게임도입’ 등 2가지로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둘째, 학생의 경험 측면에서는 ‘자연스러운 규칙의 이해’, ‘빈 공간 공략하기’, ‘베이스 포지션의 이해와 적용’ 등 3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참여자와 연구영역의 범위를 다양하게 적용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ementing experience of net-type games in elementary school using the Tactical Games Approach.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th grade(n=46) students in Malguem Elementary School. A total of eight main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expressing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selecting students who wrote consent form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rviews, observations,, and document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procedure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revealed by the teacher s experience and the student s educational meaning. In the efforts of the bridge to connect the tactics, which is the teacher s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 two themes were emerged: ‘applying cooperative game strategy for maintain rally’ and ‘tactical sequence-based game.’ For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transition of knowledge, three themes were emerged: ‘recognition of natural rules’, ‘targeting open space’, and ‘understanding of base positions.’ Further research topics regarding the tactical games approach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전술게임수업모형을 적용한 네트형 게임수업의 실행
Ⅳ. 네트형 게임수업 실행의 의미
Ⅴ.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종문(Cheon, Jong-Mun),홍덕기(Hong, Deock-Ki). (2020).초등학교 네트형 게임의 실행 경험과 교육적 의미.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6 (4), 47-66

MLA

천종문(Cheon, Jong-Mun),홍덕기(Hong, Deock-Ki). "초등학교 네트형 게임의 실행 경험과 교육적 의미."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6.4(2020): 47-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