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량 중심의 초등학교 체육수업 설계 방안
이용수 200
- 영문명
-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Competency-Centere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 Focused on 5th Grade Competitive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이정택Lee, Jung-Taik 이기청(Lee, Ki-Ch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6권 제4호, 33~4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목표와 방향에 적절한 초등학교 체육수업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학년 경쟁 영역을 예시로 역량을 가르치기 위한 교육과정 분석, 평가 기준 설정, 단원 및 차시 설계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향식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 의도 및 계획과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그에 적절한 교과 및 총론의 역량을 적용하는 체육수업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를 초등학교 체육수업을 통해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역량 중심의 체육수업 설계 방안이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역량 중심 체육수업 방안이 공유되는 과정을 통해 더욱 확대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sign plan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appropriate to the goals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ed analysis of curriculum, standards, preocedure and contents for teaching competency in 5th grade competition area. Using bottom-up approach, this study proposed a physical education class design plan that applies the competence of subject and general theory which appropriate to the instructional intention, plan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se course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Moreover, it will expand the values and goals pursued by the curriculum through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future, various competency-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 design plans should be presented, and these will be further expanded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physical education class pla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경쟁영역 체육수업에서의 교사 발화에 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초등학교 네트형 게임의 실행 경험과 교육적 의미
-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참여와 공감, 친사회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 운동이 초등학생의 성장관련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역량 중심의 초등학교 체육수업 설계 방안
- 초등체육의 인성함양 메커니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초등학생의 마음가짐(mindset), 성취목표성향과 친사회적행동의 관계
- 체육전담교사, 스포츠강사, 담임교사의 공존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초등교육에서 무용 감상에 관한 교육적 해석
- 초등학교 체육과 ‘표현’ 영역에서의 공감교육을 위한 수업 실천
-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공감 능력의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