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러티브 논문작성의 실제

이용수  1,424

영문명
Practice on Narrative Thesis Writing
발행기관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저자명
홍영숙(Hong, Young-Suk)
간행물 정보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8권 제3호, 7~2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Clandinin과 Connelly가 발전시켜 질적연구방법으로 정착시킨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에 대한 필자의 이론적 이해와 실제적 경험을 바탕으로 ‘내러티브 논문을 어떻게 쓸 것인가’의 관점에서 내러티브 탐구자에게 논문 작성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된 기고문이다. 내러티브 탐구의 본질적 목적인 ‘개별 인간 경험의 이해’는 탐구의 처음부터 끝까지 연구자가 명심해야 하는 요소임을 강조하였고, 내러티브 논문을 구성하는 각 항목 별로 작성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지원과 더불어 빈번히 발생하는 항목별 글쓰기 오류와 작성 시 주의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본고가 인간 이해에 관심을 가지고 내러티브 탐구를 시작하는 연구자들에게 힘과 도움이 되기를 기원하며, 성숙한 내러티브 탐구자로 거듭나서 좋은 내러티브 논문의 생산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s an academic contribution, was written to provide ‘a guide for how to write a narrative thesis’ to narrative inquirers from my experience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about Narrative Inquiry, which was developed and founded by Clandinin and Connelly. It was highlighted that each narrative inquirer should keep in mind the essential goal of narrative inquiry, ‘understanding experiences of individuals’, during whole process of research. It was mainly suggested guides for how to write each chapters with theoretical support, frequently occurred errors, and matters that require attention. I hope that this article could be a positive support and help for narrative inquirers who have concerns for understanding human beings, so that they could produce good narrative theses as mature narrative inquirer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내러티브 논문 글쓰기
Ⅲ.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영숙(Hong, Young-Suk). (2020).내러티브 논문작성의 실제.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 (3), 7-28

MLA

홍영숙(Hong, Young-Suk). "내러티브 논문작성의 실제."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3(2020): 7-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