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연과의 조율
이용수 78
- 영문명
- Coordination with Nature: Art-based Inquiry on Natural Environment Performance in Suncheon Bay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전영국(Youngcook Jun)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8권 제3호, 133~1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순천만 자연환경을 무대로 다국적 작가들과 교류하면서 자연환경과 관련된 생태 워크샵과 퍼포먼스에 참여한 경험에 대하여 예술 기반 탐구 방법을 적용한 사례를 다루고 있다. 2016년 11월에 걸쳐 작성한 현장 노트, 성찰 메모, 사진, 동영상 및 기억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19년 10월과 2020년 8월에 나눈 작가와의 대화 자료를 추가하였다. 연구자인 ‘나’는 순천만 인근 지역과 국가정원에서 자연과 교류하는 과정을 통해 예술의 현장에서 퍼포먼스를 감상하고 참여한 과정을 예술가/연구자/교육자의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예술 기반 연구 방법인 artography를 차용하여 생태 퍼포먼스의 특징, 자연환경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전환, 시민 참여형 생태 퍼포먼스 참여 경험에서 얻게 된 내적성찰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탐구하면서 ‘자연과의 조율’이라는 주요 측면을 포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생태적 개인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 순천만의 생태환경 속에서 전개되는 예술의 수행적 측면 및 퍼포먼스 참여 경험에서 드러나는 인상적인 부분을 질적으로 묘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alt with the authors’s subjectiv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ecological workshops and eco-art performances while interacting with international artists at Suncheon Bay International Eco-Environmental Art Festival 2016. Field notes, reflection memos, photos, videos, and memory data written over November 2016 were collected, and conversation data with the artists shared in October 2019 and August 2020 were added. The researcher, “I,” explored inner feelings and awakenings of appreciating and participating several performances from the perspective of an artist/researcher/educator through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nature in the area near Suncheon Bay wetland and national garden park. By adopting artography, an art-based research method, the major aspects of ‘coordination with nature’ were explored while exploring the proces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performances, being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s, and inner reflections gained from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ecological performances as a citizen. I depicted the aspects of becoming an ecological person, the aspects of performativity with natural environments of Suncheon Bay, and the impressive parts of unfolding artistic appreciations from the eco-art performance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순천만 생태 워크숍에서 작가들과 어울리다
Ⅲ. 자연환경 퍼포먼스 참가 경험에 관한 예술 기반 탐구
Ⅳ. 순천만 정원에서 생태 설치미술 및 퍼포먼스 감상
Ⅴ. 자연환경 퍼포먼스에 대한 성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