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 내러티브 글쓰기의 현황 및 개선방안

이용수  189

영문명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Plans of Self-narrative Writing : Focused on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and Class
발행기관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저자명
성은혜(Eun-Hye Seong)
간행물 정보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8권 제3호, 111~13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기초(필수) 교양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생들의 글쓰기 실력 향상뿐 아니라 심리적, 철학적 의미를 찾을 수 있는 내러티브 글쓰기의 필요성과 그 의의를 살피고 수업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 글쓰기 수업은 신입생을 대상으로 교양 필수 교과로 운용되고 있기에 교양 교과로서의 특징과 위상을 고려하여 수업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내러티브의 자아 구성과 생성력을 토대로 자기의 내러티브를 만들어 내는 글쓰기는 자신에 대해 성찰하고 내러티브를 생성해 내는 교양인으로, 또한 사회에서 요구하는 의사소통 및 비판적 성찰 능력을 갖춘 인재로서도 필요한 역량이다. 그러나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재와 강의 계획서를 통해 살펴본 교수-학습은 실용문을 위주로 운용되고 있다. 교재에서는 자기를 성찰, 표현하는 글쓰기를 다루고 있으나 분량이나 비중 면에서 볼 때 소개 차원에 불과하다. 교수-학습에서도 자기소개서, 자기 진단적 성격으로 활용하는 데 그쳐 학생이 자기에 대해 성찰하고 점검할 수 있는 글쓰기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자기 내러티브 글쓰기’는 성찰과 계획까지를 범위로 하되 과정을 중심으로, 추후의 자기소개서 작성과 연계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교재에서도 독립적인 글쓰기 유형으로 구체적인 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교수자의 피드백과 비밀유지 등의 태도가 전제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narrative writing that can find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s as well as improving students writing skills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s a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and to analyze and improve the class status. Since university writing classes are being operated as mandatory courses for freshmen, it is necessary to organize class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liberal arts subjects. Writing that creates one s own narrative based on the self-organization and generating power of the narrative is a necessary competency as a person with communication and critical reflection skills. Self-narrative writing should cover reflection and planning, bu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writing of a self-introduction letter, focusing on the process. The textbook should also be presented as a type and specific activitie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내러티브 생성의 교육적 의미
Ⅲ.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과 운용 실태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은혜(Eun-Hye Seong). (2020).자기 내러티브 글쓰기의 현황 및 개선방안.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 (3), 111-131

MLA

성은혜(Eun-Hye Seong). "자기 내러티브 글쓰기의 현황 및 개선방안."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3(2020): 111-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