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교육과정의 개선 과제와 방안 탐색
이용수 99
- 영문명
-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Narrative Approach for Student Life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유제순(Je-Soon Yoo) 전호재(Ho-Jae Jeon) 김동원(Dong-Won Kim)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8권 제3호, 59~8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교육과정의 개선 과제와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교육과정 차원에서 현행 중학교 교육의 방향, 자유학기(학년)제, 중학교 교육의 개선측면에서의 선행연구 등을 분석하였고,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교육은 성공적인 학교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자유학기제 등에서 여러 긍정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긴 해도, 중학교 교육은 교육의 정체성과 위상을 확고히 하는 것과 더불어 질적 개선의 필요성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교육의 위상을 재정립할 필요성과 더불어 개선의 지향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본적인 교과 탐구 능력의 개발, 소질과 적성을 고려한 진로탐색 촉진, 주체성 및 문화이해 능력 발달 지원, 공동체 시민 역량 함양 교육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improvement tasks and plans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o do this, the current middle school curriculum was analyzed in various approaches. In terms of the current direction of middle school education, the free semester(grade), and improvement and innovation of middle school educ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n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Middle school education strives to realize a successful school education. In particular, the recent free semester has undergone many positive changes. However, in the course of this change, middle school education has emerged the need for definitizing the identity and improving its quality.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field expert’s opinions, the identity and status of middle school education were re-established and the direction of innovation was suggested. In addition, a specific reform plan for middle school education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develop basic subjects inquiry competence. Second, promotes career explora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talent and aptitude. Third, supports the development of subjectivity and cultural understanding competence. Fourth, enhance community citizenshi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중학교 교육과정의 개선 과제
Ⅴ. 결론: 개선 방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