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적 몰입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f the self-efficacy related to artistic flow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황기(Kim, Hwang G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24권, 49~7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적 몰입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미술적 몰입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기여하는가? 2) 그렇다면 성별과 미술적 영역(입체, 평면)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존재하는가? t 검증을 활용하여 처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몰입발생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즉 ‘미술활동에서 몰입이 발생은 자기효능감이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연구가설이 긍정되었음을 의미한다. 2. 여성 예비 교사들의 몰입 수준이 남성 예비교사들보다 높았다. 3. 평면·입체 활동에 따른 몰입의 차이는 없었다. 다른 활동영역에서의 몰입이 자기효능감과 같은 내적 동기를 강화하는 것과 같이 미술활동 같은 특수 영역에서의 몰입도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self efficacy are explored in this study. The major question addressed by this research concerns whether artistic flow which comes from teaching the arts for its own sake influenced self-efficacy. The sample consisted of 83 pre-service teachers from five universities of elementary education. The results have been showed below. 1. Data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self-efficacy related to artistic flow. 2. The flow of female pre-service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male pre-service teachers. 3.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he flow from two-dimensional art activities and the flow from three-dimensional ar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 on earlier finding by showing that artistic flow strongly influences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몰입 이론
Ⅲ. 자기효능감 이론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rt Teachers in Collaboration between Art Museum and School
- 심층동기와 내적 비전에 끼치는 시각 이미지의 효과와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사례 연구
- 미술적 몰입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타이포그래피를 통한 디자인 감상 학습 콘텐츠 연구
- 초등 미술영재교육에 대비한 현황 분석 연구
- 초등학교 서예교육의 멀티미디어 교수자료 개발 연구
- 초등미술교육에서 감상교육의 방법론 연구
- 미술수업에서 내러티브 사고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이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한국 근대에서의 자재(自在)화 교육의 변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