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미술교육에서 감상교육의 방법론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A Research of Method of Appreci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류지영(Ryu, Ji-Yeo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24권, 75~10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미술교육에서 감상교육의 방법론에 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미술의 감상이 중요한 이유는 미술의 조형의 세계를 통해 역사와 문화를 보는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우리가 세계를 인식하는 힘의 근원이 되며 현재와 미래에 대한 상상과 비전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미술의 형식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 사회문화적인 배경, 역사적 위치와 기존의 평가에 대한 의문점을 탐구하고 실기를 통한 작품 제작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조형에 관한 전반적인 문제에 대한 탐색이 미술 감상교육의 장을 통해서 보다 확대될 수 있다고 본다. 한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에서는 서로의 작품과 미술품을 미술 작품으로 통합하고 미술작품과 미술문화로 구분하여 작품을 보는 조형적인 요소와 사회문화적인 배경과 역사적 의미를 중시하는 비평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지도 방법을 중심으로 감상교육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과 앞으로의 적용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for the methodology of the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art education and the method of guiding the teacher. The problem of the present education enumerated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s. It is the viewpoint to the art work, a multiculturalism, and the cultural identity as the problem and the social character to the process of study in the appreciation education. To make the class guiding system, I try to research a methodological guidance. The problem and the revision curriculum of a present curriculum were considered. As a result, a methodological problem of the viewpoint and the appreciation education to read the art especially can be pointed out in the problem and the direction of the appreciation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a methodological approach on class. The concrete approach for guidance method comes to change simultaneously with this by the class purpose. I considered the feature of the research on teaching by two like the research and the teaching in this research. And I classified the method by four kinds as the art department curriculum, teaching methodological approach, the teaching process, and the teaching skill of an individual class, etc. on class, and analyzed my art class by that. A methodological approach is demanded in the research on teaching, for practicing standpoint of appreciation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감상 영역의 문제
Ⅲ. 수업 연구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rt Teachers in Collaboration between Art Museum and School
- 심층동기와 내적 비전에 끼치는 시각 이미지의 효과와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사례 연구
- 미술적 몰입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타이포그래피를 통한 디자인 감상 학습 콘텐츠 연구
- 초등 미술영재교육에 대비한 현황 분석 연구
- 초등학교 서예교육의 멀티미디어 교수자료 개발 연구
- 초등미술교육에서 감상교육의 방법론 연구
- 미술수업에서 내러티브 사고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이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한국 근대에서의 자재(自在)화 교육의 변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