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서예교육의 멀티미디어 교수자료 개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of Calligraphy for Primary Schoolers and its Application Example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허정임(Jeong Im Huh) 김명숙(Myung Sook Kim) 전종탁(Jong Tak Jeo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24권, 215~24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예는 서체마다 필법이 다르고 결구(자모음의 배치) 및 장법(낱자의 배치)도 다르다. 각 서체마다 기능적 숙련을 요하므로 미술교과의 다른 영역과는 달리 서체에 대한 기능과 지식을 기반으로 반복적인 연습을 거치는 학습지도과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실기능력이 부족한 교사들을 위해 교실환경에 적용 가능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교수법에 자신감을 주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업자료 준비의 번거로움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서예학습의 특성을 살린 자료 활용으로 차시별 학습목표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멀티미디어 자료를 초등학교 3, 4학년의 현장수업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영문 초록
The subject ‘Art’ is comprised of many fields, one of which is calligraphy. It is considered important because it has traditional value and helps pupils expand their emotional and aesthetic capacity. Thus, it now takes the largest part of the art subject. But it is one of the least favorite areas because they lack teaching skills and materials. Studying and teach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level of the pupils are needed and development of multimedia materials which suits the typical environment of Korean primary schools is also needed. Thus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teaching materials as requested and required by the current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o summarize the actual result. The developed material was produced in CD and thus is duplicable and usable in any classroom. The calligraphy education that will be addressed in the main passage is included in mother language course in China and Japan while it is a part of art education in Korea although Korea belongs to the same oriental cultural area. This implies a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the other two Asian countries, China and Japan, in that China and Japan focuses on the functional aspect of calligraphy such as reading and writing while Korea highlights cultivating emotional sentiment. The actual case study that will be addressed in the main text is regarding development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which will be applicable to the advanced class environment by complementing practical capability of teachers and reducing the hassle of preparing class materials. The education of calligraphy is aimed to establish a good personality and to nurture a harmonized spiritual life for students. In the face of the reality of today’s society characterized by widespread individualism and standardization partly due to computers and materialism, the education of calligraphy could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promote patience, spirituality and creativity among students.
목차
Ⅰ. 시작하는 글
Ⅱ. 서예의 이해
Ⅲ. 멀티미디어 수업자료 개발과 수업적용
Ⅳ. 마치는 글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rt Teachers in Collaboration between Art Museum and School
- 심층동기와 내적 비전에 끼치는 시각 이미지의 효과와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사례 연구
- 미술적 몰입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타이포그래피를 통한 디자인 감상 학습 콘텐츠 연구
- 초등 미술영재교육에 대비한 현황 분석 연구
- 초등학교 서예교육의 멀티미디어 교수자료 개발 연구
- 초등미술교육에서 감상교육의 방법론 연구
- 미술수업에서 내러티브 사고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이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한국 근대에서의 자재(自在)화 교육의 변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