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타이포그래피를 통한 디자인 감상 학습 콘텐츠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Contents for Appreciation Focusing on Typography in Desig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임남숙(Im, Nam-Sook)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24권, 169~18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주변 생활에서 보이는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이해와 흥미, 체험의 반영에 유의하면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 활용의 디자인 감상 학습 콘텐츠 제시를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현 디자인교육은 실생활과 유리된 표현 결과물 중심 교육으로 특히 디자인 영역의 감상 학습에 대한 콘텐츠는 아직 빈약한 수준이다. 3학년 교과서 내용에서 ‘문자와 초대장’ 의 단원을 재구성하여 옥외 간판의 타이포그래피 활용을 콘텐츠로 연구한다. 이는 실생활에서 감상 학습으로 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얻고 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학습 방향을 지향한다. 초등 3학년은 언어 구사력이나 미술용어 이해가 미발달되었으므로 미술 전문 용어를 제한하여 반복 사용한다.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강조된 감상 연구와 기호학의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사실분석, 의미분석, 가치분석의 3단계 분석 도구를 재구성하여 타이포그래피 활용의 디자인 교수-학습안으로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notices the value of typography in sign design around city as the subject of for appreciation study, and proposed a three-step analysis system, the semiotic, which helps learners find out intricate signs included in typography, interpret their implications and appreciate their valu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four-fold: to understand education system and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diverse elements including symbols in typography; to get an overall perspective on various aspects of life; and to develop contents for appreciation study which points to help learners perceived values. The necessity of appreciation study comes from the reality that the primary focus of design education is put on outputs abrupt with true life and learners have infrequent moments for learning how to appreciate and evaluate arts, although several efforts are made to integrate fine arts into real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The year of grade 3 is contemplate as an first moment for appreciation study, because in this period young learners develop a wide-ranging sight for fine arts, sense of beauty, particularly of shape, creative and logical thinking and a low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목차
Ⅰ. 서론
Ⅱ. 현 교육과정의 분석과 시사점
Ⅲ.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디자인 감상 학습의 콘텐츠(Contents) 구성과 학습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rt Teachers in Collaboration between Art Museum and School
- 심층동기와 내적 비전에 끼치는 시각 이미지의 효과와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사례 연구
- 미술적 몰입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타이포그래피를 통한 디자인 감상 학습 콘텐츠 연구
- 초등 미술영재교육에 대비한 현황 분석 연구
- 초등학교 서예교육의 멀티미디어 교수자료 개발 연구
- 초등미술교육에서 감상교육의 방법론 연구
- 미술수업에서 내러티브 사고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이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한국 근대에서의 자재(自在)화 교육의 변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