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SCL에서 개념도 유형이 협력적 지식 구축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3

영문명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Concept Map on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 Focusing on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김진희(Kim, Jinhee)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2권 제3호, 283~30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SCL에서 개념도 유형이 협력적 지식 구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협력학습 환경으로 IHMC(Institute for Human & Machine Cognition)의 ‘CmapTools 를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대학에 다니는 62명의 학생들이었고, 이들은 각각 ‘귀납적 유형’, ‘연역적 유형’, ‘무작위 유형’ 개념도 제공 집단에 배치되었다. 이 중에서 최종적으로 54명의 측정결과를 활용하여 상호작용 메시지의 유형 별 빈도 분석 및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습자의 추론 활동을 고려한 개념도 유형(귀납적, 연역적)이 무작위 유형 보다 생산적인 상호작용을 촉진시켰으며, 개인의 지식 구축과 집단의 공유지식기반 형성에도 더 효과적이었다. 종합하면, 학습자의 추론 활동을 고려한 개념도 유형(귀납적, 연역적)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사고 과정과 학습자 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 및 내용관련 토론을 촉진시켰으며 그 결과 개인의 지식구축과 집단의 지식구축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협력학습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인간의 인지처리체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concept map on the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nd outcomes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CSCL).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with blank concept maps built using the CmapTools program was developed. Sixty-two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ductive, deductive and random concept map groups). After removing incomplete data, data from 54 students were used for a frequency analysis of interaction patterns and a series ANOVA. The inference (inductive and deductive) concept map groups showed significantly more productive interactions and more positive influence in both individual knowledge acquisition and knowledge co-construction than the random concept map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inference concept mapping facilitated learners’ active thinking processes and meaningful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nd thereby successfully and efficiently led to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The insight gained through this study may inform instructional designers seeking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efficient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design within a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framework.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희(Kim, Jinhee). (2020).CSCL에서 개념도 유형이 협력적 지식 구축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32 (3), 283-307

MLA

김진희(Kim, Jinhee). "CSCL에서 개념도 유형이 협력적 지식 구축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32.3(2020): 283-3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