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이용수 291
- 영문명
- The Exploratory Empirical Study of Graduate Students’ Perceived Educational Satisfac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김세련(Se-Ryon Kim) 최고은(Koun Choi) 박인우(Inn-Woo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2권 제3호, 487~51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모형을 구안하고,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요인 모형을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전문가 12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일반대학원생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18부의 자료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①교육과정, ②교수학습, ③학습성과, ④연구지도, ⑤연구문화, ⑥행정지원, ⑦연구활동 지원의 7요인 모형이 도출되었으며, 모형에 대한 내적일관성 및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총 39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를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측정도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educational satisfaction scales for the graduate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developed based upon literature and total 318 data was collect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were both found to be adequate for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measure. Finally, the model was drawn to have the following seven factors: 1) curriculum, 2) teaching and learning, 3) outcomes from classes, 4) research apprenticeship, 5) research culture, 6) administrative support, 7) support for research activit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scales attemp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s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by embracing multidimensional factors into the scal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SCL에서 개념도 유형이 협력적 지식 구축에 미치는 영향
- 학점제 기반 고교 교육과정의 편성 체제에 관한 논의
- 교직이론과목이 예비교사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 중학생이 지각하는 미래지향시간관과 학업동기 및 노력,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 팀 학습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과제수행 및 해결과정, 성과에 대한 질적 고찰
- 증거 중심 설계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 온라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매개로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