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팀 학습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과제수행 및 해결과정, 성과에 대한 질적 고찰
이용수 156
- 영문명
- Qualitative Study on the Assignment Activities, Resolution Process, and Performance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eam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정한호(Hanho J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2권 제3호, 405~43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의 팀 학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실태를 탐색하고 효과적인 팀 학습 수행 방향에 대한 올바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팀 학습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에서 수행된 팀 학습에 참여한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6명(12개 팀)의 대학생이 작성한 팀 활동 계획서, 팀 활동 일지, 최종 결과보고서와 같은 팀 활동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또한, 타당하고 객관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대학에서의 팀 학습 경험이 10회 이상인 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은 ‘본인의 전공과의 연계성’, ‘시대적인 흐름이나 교육 현실’, ‘국내 교육상황에 대한 문제의식’, ‘추후 팀 성과로 산출될 결과’까지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팀 목표 및 세부 과제를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은 ‘과제수행 방안 및 오류 탐색’, ‘과제해결 과정 탐색 및 문제점 파악’, ‘보완’, ‘과제해결의 열쇠 선정 및 실행’ 등 팀 차원의 과제수행 및 해결의 과정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은 ‘개인 차원의 역량 발휘’, ‘동료와의 협의 및 조율’, ‘동료와의 협업 및 공유’, ‘개인적 차원에서의 미비점 확인 및 보완’, ‘발전 가능성 탐색’ 등 개인 차원에서의 과제수행 및 해결의 과정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은 ‘현장에 대한 실제적 인식’, ‘수준 높은 과제수행’, ‘개인과 팀원으로서 역할 수행’, ‘원활한 소통 및 배려’ 등과 같은 팀 과제수행에서 유발되는 어려움을 도리어 팀 학습의 필수적인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은 ‘개인적인 성취감’, ‘공유된 지식의 힘’, ‘체계적인 문제해결과정’, ‘교육현장에 대한 실제적 인식’, ‘현실적/구체적 성과물 산출’ 등과 같은 개별학습과는 차별된 팀 학습의 성과를 체험하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팀 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이론적, 실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and realities of team learning at class and to present the correct method for effective team learning direction in university.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red the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eam learning at university in a desirable direc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eam activity data such as the team activity plan, team activity log, and final result report prepared by 36 students (12 teams). In addition, in order to derive valid and objective results, in-depth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5 college students with 10 or more team learning experienc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select goals and detailed tasks while comprehensively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with their majors’, real trends or educational reality , awareness of problems in the domestic education situation , and results to be calculated as team performance in the future . Seco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undergo a team-level task execution and resolution process such as, implementation of task plans and errors , exploration of task solving process and identification of problems , complementary , selection and execution of the key to solving tasks . Thir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undergo the task execution and resolution process at the individual level such as, ‘exercising individual competency’, ‘consultation and coordination with colleagues’, ‘collaborating and sharing with colleagues’, ‘identifying and supplementing incompleteness at the individual level’, ‘exploring development potential’. Fourth,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und that difficulties caused by performing team tasks such as ‘real awareness of the field’, ‘high-level assignment performance’, ‘performing roles as individuals and team members’, ‘seamless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are in fact essential elements of team learning. Fifth,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experience and recognize the results of team learning that are different from individual learning, such as ‘personal achievement’, ‘power of shared knowledge’, ‘systematic problem solving process’, ‘practical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field’, ‘calculating realistic/specific outcomes .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were discussed to make college team learning to be activated in a desirable direc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SCL에서 개념도 유형이 협력적 지식 구축에 미치는 영향
- 학점제 기반 고교 교육과정의 편성 체제에 관한 논의
- 교직이론과목이 예비교사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 중학생이 지각하는 미래지향시간관과 학업동기 및 노력,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 팀 학습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과제수행 및 해결과정, 성과에 대한 질적 고찰
- 증거 중심 설계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 온라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매개로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