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거 중심 설계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이용수 587
- 영문명
-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ssessment based on Evidence Centered Design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김인숙(Kim, Insuk) 서수현(Seo, Soohyun) 김종윤(Kim, Jong-Yun) 옥현진(Ok, Hyounjin)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2권 제3호, 437~45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증거 중심 설계(Evidence Centered Design)는 평가 계획 및 실행의 첫 단계에서부터 타당도를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다양하게 수집하도록 하는 평가도구 설계 및 개발의 틀로서, 최근 해외의 여러 역량 기반 평가도구 개발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미래사회 핵심역량 중 하나로 논의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주목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과정에 증거 중심 설계를 활용함으로써 그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증거 중심 설계는 평가 영역 분석, 평가 영역 모형화, 개념적 평가틀 정의, 평가 시행, 평가 결과 보고 절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프로토타입 문항 개발 과정에 이와 같은 일련의 절차를 구체적으로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증거 중심 설계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인을 이루는 핵심 지식, 기능, 역량에 대하여 논증 원리를 만들고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증거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타당한 평가도구 개발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성과는 향후 디지털 리터러시를 포함한 각종 평가도구의 질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As the framework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which help gather a variety of evidence that supports the effectiveness of the assessment from the start, Evidence Centered Design is being used to develop competency-based evaluation tools overseas. Consequently,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Evidence Centered Design to develop evaluation tools for digital literacy, a skill which is being considered as a core competency for future society. Evidence Centered Design is composed of Domain Analysis, Domain Modeling, Conceptual Assessment Framework, Assessment Implementation, Assessment Delivery. This study applied these models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prototype for the cognitive domains of a digital litera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Evidence Based Design supports the core knowledge, skills, and competencies of digital literacy and provides support to an efficient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The results of this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for various competency evaluation tools including digital literac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증거 중심 설계를 적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절차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SCL에서 개념도 유형이 협력적 지식 구축에 미치는 영향
- 학점제 기반 고교 교육과정의 편성 체제에 관한 논의
- 교직이론과목이 예비교사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 중학생이 지각하는 미래지향시간관과 학업동기 및 노력,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 팀 학습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과제수행 및 해결과정, 성과에 대한 질적 고찰
- 증거 중심 설계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 온라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매개로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