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본의」에 대한 주석(注釋)의 특징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nnotations on the ZongBenYi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조병활(Cho, Byung-hwal)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25권, 573~60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론󰡕 서두(序頭)에 붙은 「종본의」는 「물불천론」·「부진공론」·「반야무지론」·「열반무명론」의 내용을 요약한 짧은 글이다. 󰡔조론󰡕의 주석서 가운데 일부는 「종본의」를 해석했고, 어떤 책은 「종본의」 자체를 싣고 있지 않다. 본고는 「종본의」에 대한 해석을 수록하고 있는 주석서 7종의 특징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반야·중관사상으로 「종본의」를 해석한 󰡔원강소󰡕, 󰡔조론중오집해󰡕·󰡔조론집해령모초󰡕, 󰡔조론략주󰡕 등의 단락 구분이 서로 다름을 확인했다. 󰡔주조론소󰡕·󰡔절석조론󰡕·󰡔조론신소󰡕는 화엄사상과 󰡔대승기신론󰡕에 입각해 「종본의」를 설명한 것이 특색이며, 󰡔조론략주󰡕는 「종본의」 분석을 통해 조론 전체를 통괄(統括)하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다시 말해 󰡔조론략주󰡕에 나오는 “속제를 말한 「물불천론」과 진제를 설명한 「부진공론」은 관찰 대상에 해당되고 「반야무지론」은 관찰하는 주체의 지혜를 설명하기에 세 편은 원인이며, 열반을 설명한 「열반무명론」은 과(果)가 된다.”는 감산의 의견은 음미할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ZongBenYi(宗本義), which summarizes the contents of WuBuQianLun(物不遷論), BuZhenKongLun(不眞空論), BoReWu–ZhiLun(般若無知論), and NiePanWuMingLun(涅槃無名論) in ZhaoLun(肇論), is short but implicit. Some of the annotations in ZhaoLun have interpreted ZongBenYi, and some books do not contain ZongBenYi itself.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even kinds of annotations containing the interpretation of ZongBenYi.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agraphs of YuanKangSu(元康疏), ZhaoLunZhongWuJiJie(肇論中吳集解)·ZhaoLunJiJieLingMoChao(肇論集解令模鈔),and ZhaoLunLüeZhu(肇論略注), which interpreted ZongBenYi,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ZhuZhaoLunSu(注肇論疏), JieShiZhaoLun(節釋肇論), and ZhaoLunXinSu(肇論新疏) are characterized by understanding ZongBenYi based on Hwaeom(華嚴) thought and DaChengQiXinLun(大乘起信論), and ZhaoLunLüeZhu suggests the whole view of ZhaoLun through analysis of ZongBenYi. In other words, the perspective of HanShan(憨山) that WuBuQianLun which refers to the conventional truth(俗諦) and BuZhenKongLun which explains the ultimate truth(眞諦) are the object of observation and BoReWuZhiLun explains the wisdom of the observer, and that these three articles are the cause and NiePanWuMingLun which explains the nirvana is the effect, is the standpoint was worthy of savoring.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본론
1) 비사·몽암·문재의생애
2) 􋺷원강소􋺸의 특징
3) 􋺷조론중오집해􋺸· 􋺷조론집해령모초􋺸의특징
4) 􋺷주조론소􋺸의특징
5) 􋺷절석조론􋺸의특징
6) 􋺷조론신소􋺸의특징
7) 􋺷조론략주􋺸의특징
3.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병활(Cho, Byung-hwal). (2019).「종본의」에 대한 주석(注釋)의 특징 연구. 퇴계학논집, 25 , 573-603

MLA

조병활(Cho, Byung-hwal). "「종본의」에 대한 주석(注釋)의 특징 연구." 퇴계학논집, 25.(2019): 573-6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