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궁억(南宮檍) 교육사상에 대한 유학적 함의 연구
이용수 39
- 영문명
- A study on Namgung eok’s educational thought in terms of confucianism implication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저자명
- 하윤서(Ha, Yoon-seo)
- 간행물 정보
- 『퇴계학논집』제25권, 545~57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사회는 인간에게 있는 인의예지(仁義禮智)가 학력과 재력 등의 인욕(人慾)에 가려져 본성보다는 가시적인 성공에 더 가치를 두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런 교육을 받고 성장한 현대인들은 이기주의와 목적 지향적 사고의 고착화로 인하여 대동사회(大同社會)의 가치를 모르고 살아가는 일이 많다. 이에 현대 교육에 경각심을 높이고자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남궁억의 교육사상에 유학적 함의가 있음을 고찰하였다. 남궁억은 1910년 일제강점기가 본격화되자 정치에서 물러나 전 국민 애국계몽 교육을 통하여 민족혼을 일깨웠다. 이는 자신처럼 자주독립을 희망하는 국민의 간절한 마음을 헤아려 인의(仁義)로 애국 교육사상을 펼친 것이다. 그래서 본고는 남궁억이 「대한협회회보」에 실은 〈사상과 능력의 상수(相須)〉’라는 글에서 강조한 ‘사상’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동참하려는 목적이다.
남궁억에 대한 선행연구의 공통점은 그의 ‘생애 과정’을 통해 위인의 삶을 연구한 것에 초점을 둔 사실 중심의 연구이다. 그런데 본고는 그의 활동을 포괄하여 ‘애국사상의 전개’라고 보고, 그중 인간의 어린 나이부터 생애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교육 활동에 대해 유학적 함의를 논함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화를 두었다. 이를 위한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남궁억 교육사상의 형성 배경에 대하여 논하였다. 그리고 유학의 대동사회 구현 원리인 仁心과 도덕성 교육을 논하였다. 또한, 3장에서는 남궁억 교육사상이 유학의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사상 전개와 맥을 함께한다는 것에 대하여 논하였다. 본고는 남궁억의 교육 활동 근거를 통해 그의 교육사상을 질적 연구하여 유학적 함의를 고찰한 것에 의의가 있다. 대동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내면적 도덕성을 함양하여 인류 평화를 위해 모든 인간이 공생하는 보편적 준거가 필요한데, 그 준거 확보에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인의예지를 체화하여 자신을 되돌아보고, 정명사상과 화해사상이 공동체로 확산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Contemporary society tends to consider visible success more important than human nature because benevolence, justice, propriety and wisdom that are inherent in men are overshadowed by desire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and wealth. As a result, people today growing under such education have a tendency to be ignorant of value of Daedongsahoi (Great Harmony Society) due to egoism and purpose oriented thought. This paper has found that Namgung eok’s educational thought who lived during the era under the colonial administration of imperial Japan has confucianism implication. In 1910 when the era under the colonial administration of imperial Japan began in earnest, Namgung eok started mass-education campaign for patriotism to enhance Korean spirit. He unfolded a campaign for Korea’s independence through education of benevolence. This paper aims to let people know the importance of ‘thought’ which he emphasized in an article < Relativ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Ability> put in 「Bulletin of Great Korea Association」.
Previous studies of Namgung eok have fact oriented research in common that studied his life by examining his ‘life course’.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treats educational activity that influences men throughout their lives in terms of confucianism implication seeing his life as ‘development of patriotic thought which set apart this paper from previous studies. Chapter 2 treats the background of Namgung eok’s educational thought. and benevolent mind, principle of realizing Daedongsahoi through education of morality. Chapter 3 treats Namgung eok’s educational thought considering that his thought is in line with confucianism’s thought of the strength of a nation derives from the integrity of the home.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covers Namgung eok’s educational thought in terms of confucianism by studying his educational activities. In order to build Daedongsahoi, universal standard through which people can live in harmony for peace by enhancing inner morality is needed and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curing such standard. It is advisable for people to look back on them by embodying benevolence, justice, propriety and wisdom so that thought of rectification of names and thought of reconciliation can be disseminated into community.
목차
1. 서론
2. 남궁억교육사상의 형성 배경
1) 남궁억의 생애와 정치사회적 배경
2) 남궁억교육사상의 정립 배경
3) 유학의대동사회구현원리
3. 남궁억의 유학적 교육사상 전개
1)〈무궁화 한반도자수지도〉를 통한 수신 교육
2)가정교육 교과서를 통한제가교육
3) 무궁화와 역사서를 통한 애국계몽 교육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퇴계 가서의 실상과 가산경영에 관한 고찰
- 신채호의 민족에 대한 상상과 영웅 양성 - 『독사신론』과 영웅론을 중심으로-
- 퇴계의 교육과 퇴계서찰
- 신유가에서 보는 분노와 분노조절 -정주학의 성찰과 궁리를 중심으로-
- 漁村 沈彦光의 漢詩 硏究 -「歸田錄」에 나타난 晩年心理에 대해서-
- 선비정신의 현대적 재조명이 청소년 인성역량 개발에 주는 시사점 - 퇴계의 선비정신을 중심으로 -
- 退溪 書札의 意義와 現況
- 서원 교육의 이념과 실제가 지니는 현대적 시사점 연구 - ‘원규(院規)’와 ‘강회(講會)’를 중심으로-
- 사칠논변 분개설의 논거로서 『주자어류』의 “칠정횡관사단(七情橫貫四端)”에 관한 연구 -영남 퇴계학파의 논의를 중심으로-
- 모당 손처눌의 수신지학과 의병・강학활동
- 이상정(李象靖)의 『퇴계서절요(退溪書節要)』 편집 방법과 목적
- 退高往復書의 意義와 朝鮮儒學史에서의 위상
- 『聖學十圖』 「心統性情圖」의 「中圖」 장르분석
- 退溪의 主賓觀과 民主主義
- 17세기 대구지역 성리학과 星州都氏 문중의 성리학자들
- 근현대 학술체계의 수용과 전통 학문구조의 재정립 -중국미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 남궁억(南宮檍) 교육사상에 대한 유학적 함의 연구
- 「종본의」에 대한 주석(注釋)의 특징 연구
- 장자· 「천하」편의 사상 분석 -황로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