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유가에서 보는 분노와 분노조절 -정주학의 성찰과 궁리를 중심으로-

이용수  34

영문명
Anger and anger control in New Confucianism -Focus on reflection and ingenuity-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이기원(Lee, Gi-won)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25권, 335~36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분노가 긍정적으로 발산이 되면 부조리한 사회의 제도를 바꾸는 등 공적 정의를 지킬 수 있지만 병리적으로 나타나면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까지도 병리적이 될 수 있다. 분노는 타자에 대한 혐오로 나타나기도 한다. 일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분노를 원천적으로 없앨 수는 없기 때문에 결국 분노를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가 관건이 된다. 본고는 정주학(程朱學)을 중심으로 분노에 대한 인식과 분노조절에 대해 고찰했다. 불만과 불평, 소외나 원망, 원한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해소되지 못하고 마음에 쌓이게 되면 분노로 발전할 수 있다. 분노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분노하는 마음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성찰의 방법으로는 ‘경(敬)’에 의한 ‘거경(居敬)’을 제시했다. ‘경’에 의한 성찰을 통해 분노하는 자기와 대면하게 되고 분노하는 자기를 솔직하게 인정할 수 있는 시점을 얻을 수 있다. 분노 조절에서 중요한 것은 분노하는 감정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감정에 대한 이해와 함께 중요한 것은 분노하는 자기 이해이다. 분노하는 자기 이해에 대한 궁리(窮理)를 통해 어떤 부분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를 성찰할 수 있다. 궁리의 방법으로는 소이연(所以然)과 소당연(所當然)적 궁리가 있다. 소이연과 소당연적 궁리는 분노가 왜 일어나는지, 분노가 정당한지, 분노를 다른 것으로 발산할 수는 없는지 등 분노에 대한 이성적 성찰과정이다. 궁리를 통해 분노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가능해질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자기감정에 대한 면밀한 이해와 자기 조절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When anger is positively radiated, it can preserve public justice, e.g. changing unreasonable social institutions, etc., however it can make the individual as well as society pathological when it appears pathologically. Anger sometimes appears hatred on others. Hatred on others shows low tolerance on others. Since all angers in daily life cannot be fundamentally removed, therefore, it becomes a matter of how to control ange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cognition of anger and the regulation of anger, mainly in New Confucianism Considered. In order to control anger,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heart of anger. In the reflection method, “kyoung(敬)” by “Gyokyong(居敬)” was presented. You will face the angry self through reflection by “kyokyonge”, and you will be able to get a point of view that can honestly recognize the angry self. What is important in the regulation of anger, it is because it require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angry feelings. An important thing along with understanding emotions is getting angry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Ingenuity(窮理)” of angry self-understanding, it is possible to reflect on what part should be adjusted and how. In the method of ingenuity, there are ingenuity ingenuity. Natural reason is a rational reflection process of anger, such as why anger occurs, whether anger is legitimate, or whether anger can be spread to others. Through ingenuity,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nger will be possible. Using this method, you can expect a thorough understanding of your emotions and improved self-regulation.

목차

1. 머리말
2. 해소되지 못한 감정과 분노
3. 감정 중절을 위한 성찰
4. 소이연과 소당연적 궁리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원(Lee, Gi-won). (2019).신유가에서 보는 분노와 분노조절 -정주학의 성찰과 궁리를 중심으로-. 퇴계학논집, 25 , 335-363

MLA

이기원(Lee, Gi-won). "신유가에서 보는 분노와 분노조절 -정주학의 성찰과 궁리를 중심으로-." 퇴계학논집, 25.(2019): 335-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