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聖學十圖』 「心統性情圖」의 「中圖」 장르분석
이용수 56
- 영문명
- A Genre Analysis on the Diagram B of the 6th Diagram in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저자명
- 성동권(Seong, Dong-kwon)
- 간행물 정보
- 『퇴계학논집』제25권, 183~21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聖學十圖』 「心統性情圖」의 「中圖」에 대한 ‘장르분석’이다. 「中圖」는 性發爲情에 근거하여 性理로부터 情理의 필연성을 확인한다. 「中圖」의 핵심이 ‘情理’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까지 「中圖」의 情理가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논자는 근본 원인이 「中圖」에 대한 장르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데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논자는 「中圖」에서 확인할 수 있는 退溪의 ‘性情理氣’ 이해에 근거하여 인식의 4分面을 정리했다. 다음으로 Kant의 『순수이성비판』에서 Kant의 ‘선험‧후험‧분석‧종합’ 이해에 근거하여 인식의 4分面을 정리했다. 그리고 이 두 학자의 4分面이 서로 완벽하게 일치하고 있음을 증명했고, 이에 근거하여 退溪의 ‘情理’가 Kant의 ‘후험‧분석’에 있음을 증명했다. 그 결과 退溪의 情理는 Kant가 간과한 ‘감정의 자기이해’라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었다. 그 핵심은 다음과 같다. 감정[후험‧종합]은 자기 안에 자기 본성의 필연성으로 순수지선[情理:후험‧분석]을 본래부터 품고 있고 있으며, 오직 이러한 자기 본성의 필연성을 따라서 무한한 방식으로 무한하게 존재한다. 따라서 감정이 자기 안에서 자명하게 이해하는 ‘감정 그 자체’의 사실이 후험‧분석으로서 「中圖」의 情理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a genre analysis on the diagram B of the 6th diagram in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The diagram B ascertains the necessity of ‘情理’ from ‘性理’ on the basis of ‘性發爲情’ which exists as a axiom to explain the necessity between the nature and the feelings to be the principle of cause and effect. From this fact we deduce that the core of the diagram B lies in ‘情理’. However, we have not fully grasped the meaning of 情理.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genre of the diagram B. The genre analysis is based on Kant’s critique for pure reason. I crystallized the four genres of human cognition on the ground of the Kant’s work, and summed it up as a quadrant: a priori-analysis, a priori-synthesis, a posteriori-analysis, and a posteriori-synthesis. And I, finally, proved that 情理 exists in a posteriori-analysis in the Kant’s cognition-quadrant. This means that feelings is in itself perfect and good.
목차
1. 退溪의 分言과性情理氣 4分面
2. 「心統性情圖」의「中圖」 장르분석필요성
3. Kant의네가지인식 종류
1) 선험·후험分言
2) 분석‧종합 分言
3) ‘선험‧후험×분석‧종합’의 네가지인식
4. 退溪의性情理氣4分面과Kant의先後分綜 4分面
1) 性情 分言: 선험[性]‧후험[情]의分言
2) 性情에서 理氣分言: 분석[理]‧종합[氣]의 分言
3) 退溪의4分面과Kant의 4分面
5. 「中圖」의장르분석genre analysis: 性理[선험분석]로부터 情理[후험분석]
6.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퇴계 가서의 실상과 가산경영에 관한 고찰
- 신채호의 민족에 대한 상상과 영웅 양성 - 『독사신론』과 영웅론을 중심으로-
- 퇴계의 교육과 퇴계서찰
- 신유가에서 보는 분노와 분노조절 -정주학의 성찰과 궁리를 중심으로-
- 漁村 沈彦光의 漢詩 硏究 -「歸田錄」에 나타난 晩年心理에 대해서-
- 선비정신의 현대적 재조명이 청소년 인성역량 개발에 주는 시사점 - 퇴계의 선비정신을 중심으로 -
- 退溪 書札의 意義와 現況
- 서원 교육의 이념과 실제가 지니는 현대적 시사점 연구 - ‘원규(院規)’와 ‘강회(講會)’를 중심으로-
- 사칠논변 분개설의 논거로서 『주자어류』의 “칠정횡관사단(七情橫貫四端)”에 관한 연구 -영남 퇴계학파의 논의를 중심으로-
- 모당 손처눌의 수신지학과 의병・강학활동
- 이상정(李象靖)의 『퇴계서절요(退溪書節要)』 편집 방법과 목적
- 退高往復書의 意義와 朝鮮儒學史에서의 위상
- 『聖學十圖』 「心統性情圖」의 「中圖」 장르분석
- 退溪의 主賓觀과 民主主義
- 17세기 대구지역 성리학과 星州都氏 문중의 성리학자들
- 근현대 학술체계의 수용과 전통 학문구조의 재정립 -중국미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 남궁억(南宮檍) 교육사상에 대한 유학적 함의 연구
- 「종본의」에 대한 주석(注釋)의 특징 연구
- 장자· 「천하」편의 사상 분석 -황로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