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이스터고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진로결정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58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of Meister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명훈(Myung-H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7권 제2호, 121~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가 그들의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마이스터고 학생들이며, 21개 마이스터고 2학년에 재학중인 840명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3월 22일부터 4월 12일까지이었다. 최종 분석에는 불성실 응답과 응답이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555부를 활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사회적 지지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진로결정 척도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와 상관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는 그들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그들의 진로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는 그들의 진로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그들의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으로 그들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이것이 그들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진로결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of meister school students. The population was meister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ive hundred fifty five out of 84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liminating unreliable responses and incomplete responses. A survey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social support scale, resilience scale, career decision scal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item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for meister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resilience.
Second, their resilience ha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decision.
Third, social support for meister school students had no direct effect on their career decision. But social support indirectly effect students career decision by impacting resilience as a medium. In other words, social support for meister school students increased their resilience resulting in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areer deci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교 융합인재교육 효과성 제고 방안 탐색을 위한 고등학생의 STEAM교과 인식 연결망 분석
- 강원도 춘천·원주·강릉 지역 일반고등학교 진로교육 실태 및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 마이스터고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진로결정간의 구조적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실과(기술·가정)의 지속가능 영역 내용 구성 방안
- 지식재산 평생교육을 위한 사이버교육원 설립 타당성 조사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중학교 기술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의 세계’분야 내용체계의 중요도
- Kolb의 학습양식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관계
- 영국의 2014 개정 Design and Technology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와 내용
- 중소기업특성화고의 주요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