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 융합인재교육 효과성 제고 방안 탐색을 위한 고등학생의 STEAM교과 인식 연결망 분석
이용수 67
- 영문명
- Analysis of the Network for High School Students STEAM Subjects Recognition for Exploration of Effectiveness Enhancement Method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손다미(Dami Son) 최유현(Yuhyun Choi) 임윤진(Yunj in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7권 제2호, 101~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융합인재교육을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D지역의 고등학생들이 과학(S), 기술(T), 공학(E), 예술(A), 수학(M) 각 교과에 대해 인식과 그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융합인재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교과별 키워드의 빈도수 및 연결정도 중심 구조 분석을 통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융합인재교육 교과에 대한 대표적 인식 키워드들은 과목명, 핵심소재, 주요활동, 진로탐색, 관련인물, 느낌 등의 용어로 인식되었다.
둘째, 교과별 상위 키워드를 비교분석한 결과, 공학, 기술, 과학 교과의 공통 키워드가 다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기술-공학 교과의 경우 핵심소재 및 주요 활동의 형태로 융합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예술교과는 음악, 미술, 체육교과간의 연계가 크며, 주요 활동은 창조적 행위에 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술교과를 과학기술공학군과 강제적으로 연결하는 방안보다는 음악-미술-체육간의 융합 등의 형태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넷째, 역사적 주요 인물을 통하여 수학, 과학, 예술 과목 등이 서로 연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융합형 인물의 이야기 발굴과 보급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a method for enhancing effectiveness of STEAM, and attempted to seek an improvement method of STEAM through recognition of science(S), technology(T), engineering(E), arts(A) and mathematics(M)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D region and the analysis of its network. For this, a keyword network through the degree and Degree Centrality of key words by each subject was derived, and based on this, an improvement method was suggested.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ical recognition key words about STEAM subject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recognized as terms such as subject name, core subject, major activity, career exploration, people involved, feeling, etc.
Seco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uper key words by each subject, there were many common key words of engineering, technology, science. Accordingly, as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blending activities should be further enhanced. as a form of a core subject and a major activity.
Third, as for art subjects, music,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ere highly relevant to each other, and their major activities were about creative acts. Accordingly, using arts subjects as a form of a blending between music,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an be more effective rather than a method of forcibly connecting them with the subjects of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Fourth, through historical figures, the subjects of mathematics, science and arts can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For this, unearthing and providing the stories about various blending-type characters are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의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교 융합인재교육 효과성 제고 방안 탐색을 위한 고등학생의 STEAM교과 인식 연결망 분석
- 강원도 춘천·원주·강릉 지역 일반고등학교 진로교육 실태 및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 마이스터고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진로결정간의 구조적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실과(기술·가정)의 지속가능 영역 내용 구성 방안
- 지식재산 평생교육을 위한 사이버교육원 설립 타당성 조사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중학교 기술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의 세계’분야 내용체계의 중요도
- Kolb의 학습양식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관계
- 영국의 2014 개정 Design and Technology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와 내용
- 중소기업특성화고의 주요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