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olb의 학습양식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관계

이용수  131

영문명
he relationship between Kolb s learning style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ty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최준섭(Jun-Seop Choi) 임미가(Mi-ka Lim)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7권 제2호, 65~8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양식에 따라 중학생의 학습유형을 분류하고,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과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A중학교의 학생 344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양식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검사하여 분석하였다. SPSS 12.0 통계프로그램으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olb의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유형을 분류한 결과 수렴형(19.77%), 확산형(22.09%), 동화형(30.23%), 조절형(27.91%)의 분포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을 네 가지의 다른 학습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유형 간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 점수를 비교한 결과 각 유형 별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동화형과 수렴형은 모든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학습유형 별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점수는 동화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확산형, 조절형, 수렴형의 순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순서는 각 하위요소에서 약간의 변동은 있으나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다. 동화형 학습자는 가장 높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가지고 있고 수렴형 학습자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구체적 경험을 통하여 학습할 때 수렴형, 확산형 학습자는 낮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이고, 동화형 학습자는 높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였다. 또한 활동적 실험을 통하여 학습할 때 수렴형, 확산형, 조절형 학습자는 높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이고, 동화형 학습자는 낮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였다. 추후 학습유형의 차이를 고려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연구되어야 하며,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력 등 인지적 특성과의 관련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습유형 이외에 학습자 개인차를 결정짓는 다양한 요인과 기술적 문제해결의 관계를 구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their styles to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For this purpose, 344 students of A junior high school were examined and analyzed for their learning style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tyle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Kolb s learning style, there were Converging Type (19.77%), Diverging Type (22.09%), Assimilating Type (30.23%) and Accommodating Type (27.91%). The results show that learners participating in learning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of learn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learning problems. Especially, Assimilating Type and Converging Type were prov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Third, the score of the tendency toward solving the technological problems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was highest in the Assimilating Type, followed by the Diverging Type, the Accommodating Type and the Converging Type. Fourth, when learners learn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Converging and Diverging type learners showed low tendency to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and Assimilated Learners showed high tendency to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sidering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s,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준섭(Jun-Seop Choi),임미가(Mi-ka Lim). (2017).Kolb의 학습양식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7 (2), 65-82

MLA

최준섭(Jun-Seop Choi),임미가(Mi-ka Lim). "Kolb의 학습양식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7.2(2017): 65-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