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기도 중학교 기술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의 세계’분야 내용체계의 중요도
이용수 61
- 영문명
- Importance on the content system in the ‘world of technology’ par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recognized by technology teachers in middle school, Gyeonggi-do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조정아(Jeong-Ah Cho) 이상봉(Sang-Bong Yi)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7권 제2호, 47~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체계에 대한 경기도 중학교 기술 담당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중학교 기술 담당 교사가 성별, 전공, 기술 분야 교육 경력, 기술 교사 자격증 유무에 따라 인식하고 있는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체계의 동의 수준과 중요도 순위를 구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분야의 내용체계를 바탕으로 작성된 조사 도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술의 세계’ 분야의 내용체계 중에서 기술 활용, 통신 기술, 미래 기술과 생명 기술, 신․재생 에너지, 미디어와 이동 통신, 지속 가능한 기술, 기술과 사회 변화, 발명 아이디어의 실현, 지속 가능한 발전과 같이 교육과정에 신설된 내용이나 첨단 기술 관련된 내용체계의 동의수준과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제조 기술 시스템, 발명 아이디어의 실현,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동의 수준에서 성별에 따라 남교사와 여교사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확대 개편된 기술의 이용과 표준은 동의수준과 중요도가 다른 내용요소와 비교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새로운 교육과정을 준비하는 기술 담당 교사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 제시와 함께 변인에 따른 교사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technology teachers of Gyeonggi-do middle school about contents system in the ‘world of technology’ par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found out the level of consent and importance of World of Technology contents system, which the technology teachers of Gyeonggi Middle School recognized according to their gender, major, technology education caree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using the research tool based on the content system of the World of Technology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among the contents system of technology world , the level of consent and importance of contents newly established in the curriculum or contents related to high technology such as technology utiliz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future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new and renewable energy, media and mobile communication, sustainable technology, realization of invention idea were high.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according to gender at the level of consent such as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system, the realization of invention idea,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 the use and standard of technology, which was expanded and revised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was lower than other content factor in terms of level of consent and import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교 융합인재교육 효과성 제고 방안 탐색을 위한 고등학생의 STEAM교과 인식 연결망 분석
- 강원도 춘천·원주·강릉 지역 일반고등학교 진로교육 실태 및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 마이스터고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진로결정간의 구조적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실과(기술·가정)의 지속가능 영역 내용 구성 방안
- 지식재산 평생교육을 위한 사이버교육원 설립 타당성 조사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중학교 기술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의 세계’분야 내용체계의 중요도
- Kolb의 학습양식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관계
- 영국의 2014 개정 Design and Technology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와 내용
- 중소기업특성화고의 주요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