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특성에 기반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및 지표 개발
이용수 220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based on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선(Jung-Sun Kim)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6권 제3호, 71~9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준거 및 지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평가의 환류적 기능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질 관리가 가능하다는 전제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 및 우수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평가도구가 필요하다는 요구로부터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 도구들을 분석하여 기존 평가 도구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평가도구가 프로그램의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특성에 근거한 평가도구가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문화예술교육 관련 목표, 내용, 방법과 관련된 연구물들의 분석을 토대로 평가 준거 및 지표를 개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질적 평가 도구의 정교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research of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based on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art s and culture education. The research of evaluation of art s and culture education is rare. It means broken feed back system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is not going to right direction. So it is started from the need for valid and reliable evaluation tool on art 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art s and culture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qualitative programs. It addressed what and how to evaluate of art 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the proposed research, first, the existing evaluation tools used in KACES (KOREA ARTS & CULTURE SERVICE) and studie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on the analysis, to point the problems of art s and culture education evaluation and to emphasize of evaluation tool based on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art s and culture education. second, evaluation categories and indicators wer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of art s and culture education s goals, content, methods and management of analysis. So In the practical aspect,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highly useful as a guide line of development of art s and culture education. Third, The suggestion is the continuous study of evaluation tool to improve quality of art s and culture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 도구 검토
Ⅲ.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평가준거 및 지표 개발의 실제
Ⅳ.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