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와 학급환경 변인에 따른 중국 유아교사의 DAP 신념 및 교수실제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DAP Beliefs and Teaching Practice of Early Childhood Chinese Teachers Regarding Variables of Teachers and Classroom Environment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최미현(Mee-Hyun Choi) 서현아(Hyun-Ah Seo) 천희영(Hui-Young Chun) 좌승화(Seung-Hwa Jwa)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6권 제3호, 167~18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 변인(기관유형, 경력, 연령) 및 학급환경 변인(담임 유아연령, 담임 유아 수, 담임 교사 수)에 따른 중국 유아교사의 DAP 관련 신념과 교수실제에서의 차이를 밝히고자 중국 광저우시와 심천시 공립과 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85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DAP에 적합한 신념 점수와 부적합한 신념 점수 모두 교사 변인 중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지만, 경력과 연령에 따른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급환경 변인 중 담임 유아연령 변인과 담임 교사 수 변인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만 담임 유아 수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DAP에 적합한 교수실제 점수와 부적합한 교수실제 점수 모두 교사 변인 중 기관유형 변인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지만 경력과 연령 변인에 따른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급환경 변인 중 담임 유아연령과 담임 유아 수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만 담임 교사 수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유아교사의 DAP 관련 신념에 따른 DAP 관련 교수실제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적합한 신념에 따른 적합한 교수실제 점수와 부적합한 교수실제 점수 각각의 차이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합한 신념에 따른 적합한 교수실제 점수와 부적합한 교수실제 점수 각각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DAP(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beliefs and teaching practice of early childhood Chinese teachers regarding teacher variables(type of centers, teaching experience, age) and classroom environment variables(children s age in charge, number of children in charge, number of teachers in a cla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85 early childhood Chinese teachers in Kwangeow and Shimcheon, China. Al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eacher education conferences in both Kwangeow and Shimcheon were asked to complete Teacher Belief Scale(TB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Scale(IAS).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DAP beliefs and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teaching practice beliefs were related to the variables of teachers experience and age, but not to the variables of type of centers, children s age in charge, and number of children in charge. Second, the degree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eaching practice and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teaching practice were also related to the variables of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age. Third, teachers with low degree of DAP beliefs showed high degrees both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eaching practice and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teaching practice. However, it was not found that degree of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teaching practice was not related to DAP beliefs and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belief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현(Mee-Hyun Choi),서현아(Hyun-Ah Seo),천희영(Hui-Young Chun),좌승화(Seung-Hwa Jwa). (2011).교사와 학급환경 변인에 따른 중국 유아교사의 DAP 신념 및 교수실제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6 (3), 167-187

MLA

최미현(Mee-Hyun Choi),서현아(Hyun-Ah Seo),천희영(Hui-Young Chun),좌승화(Seung-Hwa Jwa). "교사와 학급환경 변인에 따른 중국 유아교사의 DAP 신념 및 교수실제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6.3(2011): 167-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