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 상징 그리고 체험 -카시러(E. Cassirer)와 손탁(S. Sontag)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131
- 영문명
- Art, Symbol, and Experience -Focused on Cassirer and Sontag s theory of art-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신응철(Eung-Chol Shin)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6권 제3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술에 대한 관점이 최근의 포스트모던 사회, 다원화된 사회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예술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면, 이를 더욱 실감할 수 있다. 예술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방식, 그러니까 예술에 대한 정의, 예술작품에 대한 이해, 예술교육의 목표 등의 논의가 이러한 시대상에 따라 빠르게 변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예술을 통한 인간 이해라는 관점아래, 우리 시대에 통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술관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우리의 예술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틀과 방향성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필자는 에른스트 카시러(Ernst Cassirer 1874-1945)와 수잔 손탁(S. Sontag 1933-2004)의 견해에 기대어 이러한 생각의 얼개를 꾸며보고자 한다. 예술에 대한 고전적인 정의를 탈피해서 새롭게 예술을 정의하고, 인간의 삶에서 예술과 상징의 관계를 해명하며, 예술작품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방식을 넘어서서 새로운 형태의 예술작품 감상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일련의 논의는 변화된 시대상에 맞추어 예술을 이해하고, 공교육 현장에서 예술교육의 방향성을 확립하는 데 나름의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erspective of art is changing according to socio-cultural circumstance in diversified society and postmodern society. If we will focus on education of art, the speed of change is more rapidly. That change implied that definition of art, understanding of art, and purpose of education of art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ims to suggest a viewpoint of art able to communicate with our society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through art. I will apply this view to our public educational field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We will deal with this idea depend on Ernst Cassirer and Susan Sontag s theory of ar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physiognomical viewpoint in Cassirer and to know erotics of Art in Sontag. And in this paper, we will discus a new definition of art and relation of art and symbol in human life and suggest a way of seeing of works of art. Through this study, we will finally suggest a new direction of our public education of art.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예술에 대한 정의와 관점
Ⅲ. 예술에 대한 새로운 접근: 상징형식으로서 예술
Ⅴ.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