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과 삶 예술교육
이용수 137
- 영문명
- Picturebook and life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신혜은(Hye-Eun Shin)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6권 제3호, 39~6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과 예술교육의 통합과 관련하여, 그림책과 예술교육이 어떤 지점에서 만날 수 있는지 그 지향점을 찾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예술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관련된 예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으로서의 삶예술교육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림책이라는 매체가 어떻게 예술교육과 접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다양한 예술장르들 사이에서의 그림책의 위치를 표상양식의 관점, 매체 구성의 관점, 인지처리방식의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그 다음에는 최근에 출간된 그림책들에서 발견되는 독특성과 변화의 양상들을 분석함으로써 그림책의 장르적 변화의 특성들이 어떻게 예술교육과 융합 될 수 있는지를 그림의 예술성, 심층심리의 서술, 새로운 구성형식의 출현, 주제의 회복, 독자 확장의 관점에서 차례로 고찰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그림책과 예술교육에 대한 통합적 지향점으로 진정한 삶의 관점에서의 그림책과 삶예술교육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ets out to explore the right point and direction for integration between picturebook and art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places of picturebook genre were firstly identified by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representational mode, media formation, cognitive processing style among other art area. Secondly, new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ary trends were examined in picturebooks recently published one. The analysis were executed in terms of artistic value of illustration, deep structure of narratives, unexpectancy of story construction, recovery of theme, and extended reader in turn. Through this considerations, some important were suggested into applying art education with picturebook. Finally, integration of picturebook and art education were discussed with the respect to LifeArt education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