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동료코칭 실행연구
이용수 190
- 영문명
- An Action Research on Colleague Coaching for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Math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민수(Jung Min Soo) 김연경(Kim Youn Kyoung) 부재율(Boo Jae Yool)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6권 제1호, 19~4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 관심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평가코치와 평가자의 역할을 순환적으로 경험한 교사들의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동료코칭 경험의 인식을 살펴보고 수학교육에 대한 수업능력과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근거로 평가기준이 수학과 교과서 수준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였고, 교실수업 수준의 과정중심평가를 수학과 ‘수와 연산’과 ‘도형’ 영역에 걸쳐서 실행하였다. 또한 3개월에 걸쳐 주2회의 동료코칭 활동을 한 뒤 참여교사들의 동료코칭 일지와 과정중심평가 실행보고서 그리고 연구참여자가 작성한 관찰일지와 포커스그룹 및 개별 면담자료 등을 통해 생성된 연구자료들을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평가성찰 측면에서 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의 방법선정과 도구개발, 과정중심평가 실시 후 채점 및 성적부여 과정에서 동료코칭을 경험하였고, 평가협력 측면에서 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의 결과분석 및 해석을 위한 의사결정과정, 과정중심평가의 성취수준 결정과정에 대한 의미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이상의 실행연구결과 교수·학습 상황에서 수학과 과정중심평가를 실행할 때 동료코칭 활동이 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수업능력과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에 의미 있게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동료코칭 활동은 학생들의 수학교과 역량향상 측면에서 교수·학습 상황을 전개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rised of teachers with interest in math education,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colleague coaching experiences regarding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math among those who experienced coaching by an evaluator and his or her roles in a cyclical manner, and search for plans to increase their instructional abilities for math education and their professionalism in student evaluation.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ways that evaluation criteria were reflected at the level of math textbooks based on th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Revised Math Curriculum of 2015 and carried out process-focused assessment at the level of classroom lessons in “Numbers and Operations” and “Figures” areas in math. The participating teachers engaged in colleague coaching activities twice per week over three months. The research materials were then put to in-depth analysis including their colleague coaching logs, reports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observation logs, focus group reports,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experienced colleague coaching in the aspect on reflection on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method for process-focused assessment, developing a tool for the assessment, and marking and grading the students after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the aspect of collaboration on assessment, the teachers discussed a decision-making process to analyze and interpret outcomes in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for the achievement level in process-focused assessment. The action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at colleague coaching activities mad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teachers’ improved instructional abilities and professionalism in student evaluation in math education when carrying out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math under teaching and learning circumstances. In addition, the colleague coaching activities for process-focused evaluation in math provided practical assistance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in the aspect of students’ enhanced capabilities in the math subject.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저경력교사에 필요한 행정업무역량과 보유도 및 교육요구 분석
- 조선시대 선악적(善惡籍)이 교사 양성과정에 주는 의미 탐색
-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탐색
- 미국 유아교육과 보육 종사인력의 자격과 학력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실행
- 진로 선택 과목 ‘지식재산 일반’ 교사 역량모델 개발
- 중학교 교사의 입직 동기에 따른 교직 만족도와 효능감이 교사의 헌신에 미치는 영향
- 교사전문성에 대한 재고: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연구
-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동료코칭 실행연구
- 교원양성기관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분석: 초등교원양성기관을 중심으로
- 사범대학 신임교수의 교수(teaching)활동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Critical Review of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 Confirmation Bias in the Age of AI and Educational Approaches for Moral Metacognition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