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분석
이용수 330
- 영문명
- The Effect of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식(Lee Yun Sik) 김장래(Kim Jang Rae)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6권 제1호, 279~30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를 다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을 교사 수준 변인과 학교 수준 변인으로 구분하여 탐색하였다. 최종적으로 교사 수준 변인 11개, 학교 수준 변인 7개, 총 18개의 선행 변인을 선정하였으며, 통계 분석은 위계적 선형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은 학교 수준 변인들에 의해 약 78.8%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수준의 학력·긍정적 피드백 변인과 학교 수준의 교장의 리더십·의사결정 참여·교사 협력 변인, 총 5개의 변인이 초등학교 교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교사 수준 변인보다는 학교 수준 변인에, 학교 수준 변인 중에서도 학교 경영과정 변인에 중점을 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s’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multi-layered wa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eacher related variables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were divided and searched for predicting variables that affec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e search showed that the teacher related variables were composed of 11 variables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were composed of 7 variables. A total of 18 variables were selected as final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s’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78.8% of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s’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as explained by school related variables. Second, educational level and positive feedback of teacher related variables, and principals leadership, participating decision making, teacher cooperation of school related variables had influence on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s’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schools’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the Regional Education Support Office, principals should do policy approach focusing on school management process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저경력교사에 필요한 행정업무역량과 보유도 및 교육요구 분석
- 조선시대 선악적(善惡籍)이 교사 양성과정에 주는 의미 탐색
-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탐색
- 미국 유아교육과 보육 종사인력의 자격과 학력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실행
- 진로 선택 과목 ‘지식재산 일반’ 교사 역량모델 개발
- 중학교 교사의 입직 동기에 따른 교직 만족도와 효능감이 교사의 헌신에 미치는 영향
- 교사전문성에 대한 재고: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연구
-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동료코칭 실행연구
- 교원양성기관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분석: 초등교원양성기관을 중심으로
- 사범대학 신임교수의 교수(teaching)활동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 Speaker familiarity and affective involvement: Insights from the Santa Barbara Corpus
- Exploring ChatGPT usage purposes and profiles among Korean high school EFL learn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