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범대학 신임교수의 교수(teaching)활동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194

영문명
A study on Junior faculty’s adaptation process on teaching activities: A case on College of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임희진(Heejin Lim)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6권 제1호, 365~39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범대학 신임교수들의 교수활동 적응과정의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A대학에 임용된 8명의 신임교수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수행하여 이들의 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역할 인식, 교육 배경, 교사 경험 여부 등), 구조적(교육에 대한 교수사회의 풍토 및 인식 등)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에 참여한 신임교수들은 대체적으로 교사교육에 대한 낮은 관심과 ‘연구자’로서의 높은 정체성을 가지고 사범대학의 교수로 임용되었다는 특징이 나타났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들은 자신만의 뚜렷한 교육철학이나 목표가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수자라는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크고 작은 시행착오를 경험하게 되었다. 사범대학 신임교수들의 교수활동 초기단계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주요 특징은 수업 준비에 과도한 시간 투자로 인해 경험하는 연구와 교육 간의 불균형, 제한적인 교수방식, 역할 갈등 등이 도출되었다. 한편, 신임교수들은 강의평가를 중심으로 자신의 교수활동 그리고 ‘교육자’로서의 스스로의 역할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경험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의 교수활동에 다양한 조정과 변화를 꾀하며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하지만 교육자로서의 자신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과는 별개로 이러한 역할을 충실히 실천하기 위한 노력은 장기적으로 이어지기보다는 상황에 ‘타협’되고 ‘멈추어지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신임교수들이 교육자로서 필요한 전문성을 함양하고 이들에게 주어진 새로운 역할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aption process of teaching activities of junior faculty members and how the personal (role recognition, educational background, teacher experience, etc.) and structural (e.g. perception on pedagogy among faculty community) factors affect on their adaptation proces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eight junior professors who were appointed to the College of Educa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junior faculty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generally had a low interest in teacher education and had stronger identity as ‘researcher’ in prior to faculty appointment. Because of lack of pedagogical training and role recognition, the junior faculty members embarked on a journey as ‘teacher’ without having clear educational philosophy or goals which resulted in various difficulties in their teaching activities. Major difficulties include excessive investment in class preparation that derived imbalance between research and teaching, limited teaching methods and role conflicts. On the other hand, the junior faculty members experienced critical self-reflection on their teaching activities as well as their role as teacher based on students’ class evaluation. Various adjustments and changes were adopted to improve their teaching experience including change in instruction style and perception towards learners. However, junior faculty members’ efforts to actively improve their teaching tended to be “compromised” and stop at certain point due to conflicting priority between teaching and research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esented variou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junior faculty members’ adaptation experience as a ‘teacher’.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희진(Heejin Lim). (2019).사범대학 신임교수의 교수(teaching)활동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6 (1), 365-390

MLA

임희진(Heejin Lim). "사범대학 신임교수의 교수(teaching)활동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6.1(2019): 365-3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