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실행
이용수 181
- 영문명
-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s and practices of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홍지연(Hong Ji Yeon) 엄정애(Ohm Jung Ae)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6권 제1호, 135~16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실행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공사립 유치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4일부터 2018년 10월 23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사회화를 단체생활을 위한 제한으로서, 개별화를 개인에 대한 존중이자 능동성 및 자율성의 발달로서 이해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사회화가 제한을, 개별화가 자유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둘 간의 긴장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교육 안에서 공존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상급학교의 존재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둘째,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교사들은, 개별 지도 차원에서는 적재적소에 유아들에게 상호작용을 하며 사회화와 개별화를 지원하였으며, 학급 운영 차원에서는 열거주의와 포괄주의에 입각한 교육적 접근을 혼용하며 사회화와 개별화의 조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제 간에 연계 속에서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필요가 있으며, 기존 교육계에 팽배했던 사회화에 대한 해체 작업과 동시에 그것이 갖는 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s and practices of soci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0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been in the field for more than 2 years. Basic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nd in-depth interviews ware used as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4, 2018 to October 23, 2018, for about two months, and were conducted twice for each participant in the form of semi-structured personal interviews for 60-90 minutes per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defined socialization as self-regulation and social skill and social value acquisition, whereas they defined individuation as respect for self and development of autonomy. Although the teachers understood that socialization presupposed self-regulation and that individualization presupposed freedom, they believed that it was possible for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to coexist in education. They even assumed it to be their duty to harmonize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in educational context. In order to achieve the harmony, the teachers reported having conducted educational practices such as modeling, complimenting, supporting, and so forth. The teachers also took two different approaches in classroom management for the harmony of the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the positive system and the negative system. Using these two approaches, the teachers tried to compromise the guidance of social norms and acceptance of children s freedo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저경력교사에 필요한 행정업무역량과 보유도 및 교육요구 분석
- 조선시대 선악적(善惡籍)이 교사 양성과정에 주는 의미 탐색
-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탐색
- 미국 유아교육과 보육 종사인력의 자격과 학력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실행
- 진로 선택 과목 ‘지식재산 일반’ 교사 역량모델 개발
- 중학교 교사의 입직 동기에 따른 교직 만족도와 효능감이 교사의 헌신에 미치는 영향
- 교사전문성에 대한 재고: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연구
-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동료코칭 실행연구
- 교원양성기관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분석: 초등교원양성기관을 중심으로
- 사범대학 신임교수의 교수(teaching)활동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 Speaker familiarity and affective involvement: Insights from the Santa Barbara Corpus
- Exploring ChatGPT usage purposes and profiles among Korean high school EFL learn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