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선악적(善惡籍)이 교사 양성과정에 주는 의미 탐색
이용수 31
- 영문명
- The Seonak-jeok in the Joseon Dynasty Exploring the Meaning of Teacher Training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하동엽(Ha Dong yeop) 김갑성(Kim Kaps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6권 제1호, 79~10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선악적의 활용과정에 담긴 의미들을 분석하여 교사들의 도덕성 함양을 위해 교사 양성과정은 공동체성을 지향해야 하며, 각 공동체는 공동체 특성에 맞는 도덕적 준거가 있어야 하고, 도덕적 준거를 반복적으로 활용할 형식인 의례(특별한 행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된 의미들을 바탕으로 국가적 차원에서는 교사 양성기관에 대한 특별한 인식을 통해 각 양성기관에서 도덕적 준거와 의례와 같은 특별한 행사를 위해 참고할 새로운 교직윤리를 정립해야 하며, 양성기관 교수 선발 시 도덕성으로 검증된 자를 선발하고, 교수들의 도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양성기관 차원에서는 도덕성을 기록할 방안을 마련하고, 선발기관과 함께 기록을 바탕으로 도덕성이 부족한 자를 걸러내기 위한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을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analysis of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Seonak-jeok confirmed that in order to foster teachers morality,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must be oriented towards community, the community must have moral standard in the community, and the ritual(special event) of using moral conformity repeatedly.
Based on the analyzed meanings, The provincial office should make a New Teaching Ethics and pick out validate of morality professor in a teacher training institute selecting and train continuously the professor for morality. It is judged that there should be a plan to record morality in the institutional level and to consider ways to sort out those who lack morality based on records with the selection agency.
목차
Ⅰ. 서론
Ⅱ. 선악적이란?
Ⅲ. 선악적 활용과정에서 발견된 의미
Ⅳ. 오늘날 교사 양성과정에 주는 의미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저경력교사에 필요한 행정업무역량과 보유도 및 교육요구 분석
- 조선시대 선악적(善惡籍)이 교사 양성과정에 주는 의미 탐색
-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탐색
- 미국 유아교육과 보육 종사인력의 자격과 학력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실행
- 진로 선택 과목 ‘지식재산 일반’ 교사 역량모델 개발
- 중학교 교사의 입직 동기에 따른 교직 만족도와 효능감이 교사의 헌신에 미치는 영향
- 교사전문성에 대한 재고: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연구
-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동료코칭 실행연구
- 교원양성기관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분석: 초등교원양성기관을 중심으로
- 사범대학 신임교수의 교수(teaching)활동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duTech-Utilized Practicum in English Pedagogy Class
- Language Factors in L2 Reading: Testing the Linguistic Threshold Hypothesis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