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전문성에 대한 재고: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531
- 영문명
- Reconsidera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Based on teacher perception of teacher trait and deprofession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허주(Hur Ju)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6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근래의 교육개혁 담론과 교육정책에서 교사와 교사전문성은 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과 방법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한 전문가로서 교사에 대한 신뢰 문제가 제기되고 교사의 탈전문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교사전문성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교직특성 및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통해 교사전문성의 개념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교사는 교사전문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교사전문성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전문성을 특성론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은 부분적이고 제한적이며, 교사전문성은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관계를 함께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들은 교직의 전문적 특성이 가치체계의 형성과 유지 및 발전의 기능이 있다고 인식하나, 이러한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전문성 개념이 위로부터의 전문성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해관계자인 정부, 교사, 학생 및 학부모의 관계가 균형적이지 못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전문성에 대한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교사가 전문성에 대해 이념적 의미부여를 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균형적 관계를 위해서는 교사 자율성이 있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전문성을 관계성(relation)의 측면에서 이해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교사전문성에 대한 역할과 책임이 교사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정부, 학생 및 학부모, 연구자 등의 교육 관련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 discussions and policy regarding education reform treat teacher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s methods and tools for achieving the policy goals. With an emphasi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interlocking with efficiency of education and accountability of teachers, teachers are forced to reach specific targets and evaluated. Behind this is the disciplinary mechanism of professionalism which could cause deprofessionalization of teacher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nd based on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trait and deprofessionalization tempted to identify how teachers conceptualize professionalism, how teachers understand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and what the concept mean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rait theory based understanding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limited and partial, and in knowledge-based society teacher professionalism needs to be conceptualized by understanding the roles and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of educ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show that Korean teachers conceptualize the function of professionalism as stability and developing of social system, but recognize that it malfunctions. Moreover, it is found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is formed primarily from above(externally) and the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are imbalanced. This is partly because teachers connotate ideological meaning to professionalism and mostly because limited teacher autonomy which is the key for balanced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needs to be understood and dealt from a relations approach. In other words,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not only with the teachers but also shared by stakeholders of education, such as government, students and parents, and researche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저경력교사에 필요한 행정업무역량과 보유도 및 교육요구 분석
- 조선시대 선악적(善惡籍)이 교사 양성과정에 주는 의미 탐색
-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탐색
- 미국 유아교육과 보육 종사인력의 자격과 학력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실행
- 진로 선택 과목 ‘지식재산 일반’ 교사 역량모델 개발
- 중학교 교사의 입직 동기에 따른 교직 만족도와 효능감이 교사의 헌신에 미치는 영향
- 교사전문성에 대한 재고: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연구
-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동료코칭 실행연구
- 교원양성기관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분석: 초등교원양성기관을 중심으로
- 사범대학 신임교수의 교수(teaching)활동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Critical Review of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 Confirmation Bias in the Age of AI and Educational Approaches for Moral Metacognition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