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플립드 러닝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사용의도 탐색

이용수  144

영문명
A Study on the Intention of Pre-service Teachers for Flipped Learning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정한호(Hanho Jeong)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0권 제3호, 329~35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플립드 러닝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교원양성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테크놀로지 활용, 온라인 강의, 플립드 러닝, 사용의도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가치, 평판을 외생변인, 신념과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시연을 매개변인, 그리고 사용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중등 예비교사 23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시연이 예비교사의 플립드 러닝 사용의도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플립드 러닝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가치, 평판이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시연과 신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신념, 평판,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가치 등과 구조적인 관련성을 맺고 있는 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기반 수업시연의 영향력 탐색을 통해, 대학 교원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시연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 학교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플립드 러닝에 대한 예비교사의 사용의도 관련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pre-service teacher for flipped learning and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based on various prior studies related to technology utilization, online lecture, flipped learning, percevied usefulness, perceived value, reputation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Belief in flipped learning and technology-based instruction experience were adopted as moderating variables, and pre-service teachers’ intention to use was adopt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236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e found that technology-based instruction experience had the greatest direct impact on loyalty to distance training course. Second, we found that percevied usefulness, perceived value, and reputaion indirect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use through technology-based instruction experience and belief. Third,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based instruction experiences that were structurally related to beliefs, reputa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value, we were able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 class demonstration at the university teacher training institu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stance training course were being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한호(Hanho Jeong). (2018).플립드 러닝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사용의도 탐색. 교육방법연구, 30 (3), 329-353

MLA

정한호(Hanho Jeong). "플립드 러닝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사용의도 탐색." 교육방법연구, 30.3(2018): 329-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