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과 공동체의식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연구
이용수 366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e Wellbeing: Focused on General and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이상수(Lee, Sang Soo) 김은정(Kim, Eun 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0권 제3호, 307~3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과 공동체의식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일반화고와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살펴보고 이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 전남 일대에서 일반고와 특성화고 학생 60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첫째, 일반화고와 특성화고에 따라 공동체의식,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일반화고와 특성화고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일반화고와 특성화고에 따라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첫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검증을, 두 번째와 세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유형에 따라 공동체의식,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 삶의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유형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개선시키는데 공동체의식과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의 역할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학교유형 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mpath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e wellbeing, focusing on general and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608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Ulsan, Gyeongnam, and Jeonnam,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verified.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sense of community,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and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school type?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affect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school types? Third, are ther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sense of community according to school type? In order to solv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test was conducted. To solve the second and the third research ques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ense of community,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type of scho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ole of sense of community and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is significant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and different approach is needed for each type of schoo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