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확실한 학력을 지향하는 일본의 학력중시 정책
이용수 9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일본교육학회
- 저자명
- 남경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14권 제1호, 41~5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본은 대학생들의 수학능력 조사, 국제학력비교테스트인 PISA의 성적, 전국학력테스트
등에서 학생들의 학력저하 현상이 뚜렷해지자 1970년대 중반 이후로 추진해 온 여유교
육을 접고 학력중시 정책을 지향하고 있다. 2002년부터 확실한 학력을 지향하면서 여유
교육 정책을 전면적으로 수정하여 학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2007년 1월의 교육
재생회의의 보고서와 2008년 1월의 중앙교육심의회의 답신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학력중시에 관한 개혁동향은 크게 2가지 흐름으로 정리된다. 하나는, 학력중시 정책이다.
이는 학교슬림화 정책과 세트가 된 여유교육 개혁 및 그에 대한 반동으로서의 테스트
학력중시 정책, 시장주의 경쟁 논리에 의한 교육시스템의 재편, 학교 및 교원의 평가의
확대이다. 다른 하나는, 확실한 학력의 지향이다. ‘교육재생회의’는 2007년 1월의 제1차
답신에서 제언한 7가지 사항 중 첫 번째에서 ‘여유교육을 수정하여 학력을 향상한다’는
학력중시 정책을 표명했다. 세부 사항으로 ‘기초학력강화 프로그램’, ‘습숙도별 지도의 확
충’, ‘학교선택제의 도입’을 제시했다. 2008년 3월에 고시된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언어활
동 및 수학과 과학 교육의 충실을 주안점으로 한 확실한 학력을 지향하고 있다.
학력중시 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학력격차를 비롯한 교육 불평등의 문제점을 극복하
면서 지식중심사회가 요구하는 학력을 신장시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여 갈 수 있을 것인가 라는 문제로 귀착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tudy of Teacher’s Views of Children and Beliefs on Teaching Metho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Japan and Korea
- 대학에서 직업으로의 이행 일한비교연구 - 전공불일치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
- 일본의 [인정어린이원]법에 관한 연구
- 일본의 『과학교육연구』 학술지를 통해 본 과학교육 연구 동향 : 2000-2005
- Consultaion System Construction of Child and Family Welfare in Japan : Focusing on 2004 Child Welfare Law amendment.
- 일본의 소자화 대책과 육아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확실한 학력을 지향하는 일본의 학력중시 정책
- 일본 교원정책의 전개와 동향 - 교원의 양성, 채용, 연수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