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회상기능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97
- 영문명
- A Study on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Applying Pictures to Reminiscence Function and Ego-Integrity of the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영숙,임지향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2권 제1호, 249~26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15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회상기능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의 여성노인을 무작위로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8명으로 나누어, MMSE-K 척도 검
사 결과 24점 이상의 여성노인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노인 회상기능척도와 노인 자아통합감척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표집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0.0을 사용하여 반복측정 변량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 회상기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인 무료함,
자아탐색, 회한, 문제해결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 자아통합감 전체와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인 현재생활에 대한 만족도, 노령에 대한 수용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노인의 죽음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applying pictures on
reminiscence function and ego-integrity of the elderl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ld were randomly divided by eight members each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standard
for selection was any elder woman with a MMSE-K scale score over 24. Reminiscence function scale and
ego-integrity scale test of the elderly were used to examine any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test.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and paired t-test were performed. As a result, first, group art therapy
applying pictures had an effect on the whole and lower section of the reminiscence function of elder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articularly on boredom, self-search, remorse, and solving problems. In
addition, psychologically stable changes were shown during self-exploring through reminiscence and sharing.
Second, group art therapy applying pictures had an effect on the whole and lower section of ego-integrity
of elder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nd embracing declining years. In addition,
positive changes of ego-integrity were shown by recognizing themselves as of worth in the self-searching
process through reminiscence. Therefore, the group art therapy applying pictures affects on reminiscence
function and ego-integrity of the elder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의 삶의 질에 따른 길 그림 반응특성 연구
-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회상기능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인식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자녀 어머니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불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 성격진단도구로서 만다라의 색채상징 활용가능성 연구
- 아동의 애착유형별 동적가족화(KFD) 반응 특성 연구
- 아동의 우울과 얼굴자극검사(FSA) 반응 특성의 관계
- 의미치료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일상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 및 자기표현의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 인지적 미술치료가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인지심리학을 적용한 미술심리투사의 과학적 모델(SM-APP)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