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인식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이용수 124
- 영문명
- An ontological Exploration into the Perception of Art Therapy by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손일숙,최선남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2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15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장애자녀가 미술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어떠한 것들을 경험하였고 그 의미는
무엇이며, 미술치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또한 본 연구의 연구자인 나의 삶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
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미술치료 센터에 연구의 목적을 알리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6명의
장애아동 어머니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 각자 4회의 미술활동을 병행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
고, 매 회기는 60분~90분정도 소요되었으며 모든 면담은 일대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어머니들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자 ‘존재론적 탐구’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참여자와 연구자의 삶을 함께 보
고 서로 이야기함으로써 관계적 삶의 의미와 가치를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그들
의 삶 속에서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를 만나는 경험과 관련된 의미 있는 주제들을 찾을 수 있었다. 장애아동
어머니들은 장애아동을 돌보는 삶 속에서 ‘죄책감과 막막함’을 가지고 불안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 막막한
삶 속에서 미술치료를 만나게 되고 ‘미술치료에 대한 기대반 의심반’으로 미술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기대하였
던 것보다 자녀들은 미술치료를 통해 ‘표현 그 이상의 기쁨’을 느끼게 되고 그에 따라 장애아동 어머니는 장애
자녀와 자신의 삶을 이해해주는 미술치료사를 ‘믿고 의지’하게 되며 이러한 경험은 장애아동 어머니들에게 ‘또
다른 용기’를 낼 수 있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what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experienced when their children were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rt therapy, what this experience meant to mothers, how art therapy was perceived by
the mothers, and what this exploration meant to the researcher's life.
6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becam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se participants received a 4 session art therapy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Each session was
about 60 to 90 minutes long. The interview was a one on one interview. This study took an ont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s they were.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meaning and value of living in relationships by talking about their lives together.
Through this kind of discussion,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find themes related to their encounter with
art therapy and art therapist.
The participants often feel guilty and at a loss in taking care of their disabled children. In their hopeless
lives, they encounter art therapy and receive it in reserved anticipation. As their children can express
themselves and feel joy through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come to rely on the therapist who make
efforts to understand their lives and children, an experience that enables the participants to gather up
another courag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의 삶의 질에 따른 길 그림 반응특성 연구
-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회상기능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인식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자녀 어머니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불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 성격진단도구로서 만다라의 색채상징 활용가능성 연구
- 아동의 애착유형별 동적가족화(KFD) 반응 특성 연구
- 아동의 우울과 얼굴자극검사(FSA) 반응 특성의 관계
- 의미치료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일상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 및 자기표현의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 인지적 미술치료가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인지심리학을 적용한 미술심리투사의 과학적 모델(SM-APP)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