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의 삶의 질에 따른 길 그림 반응특성 연구
이용수 186
- 영문명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 Drawing Test and the Quality of the Life for adul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신현자,최은영,공마리아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2권 제1호, 89~11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15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의 삶의 질에 따른 길 그림의 반응특성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성인의
삶의 질 및 삶의 질에 따른 길 그림 반응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 성인을 대상으
로 임의 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Ryff(1989), Ryff와 Keyes(1995)가 제시하고 김명소
등(2001)이 타당화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Hanes(1995, 1997)가 개발하고 소개한 길 그림 검사를
함께 실시하였다. 총 5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의 결측 자료를 제외한 426명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의 삶의 질에 따른 길 그림 반응특성에서 은폐된 길, 좁아지는 길, 분할하는 길 및 샛길
등의 길의 유형과 사용 색 수, 화지 활용, 방해물 유무 및 자신의 위치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또한 내용적 측면에서도 길 그림이 성인의 삶의 질을 잘 반영함을 알 수 있었으며 길의 유형, 사용 색
수, 화지 구조 및 교차로 유형 등에서 삶의 질 고?저에 따라 다른 반응을 보였다. 이로써 길 그림이 성인의
삶의 질 정도를 알려주는 유용한 투사검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the life 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Road Drawing Test. The specific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the life for adults 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Road Drawing Tes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life.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426 adults residing in Gyeongsangbukdo. We
used the criteria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uggested by Ryff(1989), Ryff & Keyes(1995) and justified
by Kim, et al. (2001),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Road Drawing Test by
Hanes (1995, 1997). The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road, such as a
hidden road, a narrow road, divided road, and a byway, as well as in the number of colors, paper usage,
obstacles, and the position of theirselves,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to the Road Drawing Tes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life for adults.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quality of life for adults is well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Road Drawing Test, and the different responses according to the quality
degree of life in the types of road, the number of colors, paper layout and types of crossroads, etc. This
result confirms that Road Drawing Test is a useful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 for adul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의 삶의 질에 따른 길 그림 반응특성 연구
-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회상기능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인식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자녀 어머니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불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 성격진단도구로서 만다라의 색채상징 활용가능성 연구
- 아동의 애착유형별 동적가족화(KFD) 반응 특성 연구
- 아동의 우울과 얼굴자극검사(FSA) 반응 특성의 관계
- 의미치료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일상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 및 자기표현의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 인지적 미술치료가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인지심리학을 적용한 미술심리투사의 과학적 모델(SM-APP)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