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의 우울과 얼굴자극검사(FSA) 반응 특성의 관계
이용수 215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Face Stimulus Assessment(FSA) Response and Children's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이미지,김갑숙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2권 제1호, 2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15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울 아동과 비우울 아동의 FSA 반응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FSA검사가 우울 변별도구로서 활
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 10월-11월에 걸쳐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 학
생 201명을 대상으로 아동 우울검사(CDI)와 FSA(Face Stimulus Assessment) 검사를 실시하였다. 우울 점수에서
19점을 기준으로 우울 집단과 비우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자료 분석은 교차분석과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FSA 자극그림 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색칠정도’, ‘색의 적절성’, ‘내포
된 에너지’, ‘사실성’, ‘발달 단계’, ‘선의 질’, ‘그림의 정서적 내용’ ‘그림의 공간 활용’이며, 이 변인들이 우울 아
동과 비우울 아동을 예측할 수 있는 판별력은 67.7%였다. 자극그림 2에서는 ‘색칠 정도’, ‘색의 적절성’, ‘내포된
에너지’, ‘발달 단계’, ‘세부 사항’, ‘그림의 공간 활용’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이 변인들이 우울 아동과 비우울 아
동을 예측할 수 있는 판별력은 66.7%였다. 자극그림 3에서는 ‘색의 적절성’, ‘내포된 에너지’, ‘세부 사항’에서 차
이가 있었으며, 이 변인들이 우울 아동과 비우울 아동을 예측할 수 있는 판별력은 56.2%였다. 이상의 연구 결
과를 통해 아동의 우울을 변별하는데 사용되는 기존의 자기보고식 척도와 면접을 보완해줄 수 있는 투사적 그
림검사로 FSA가 임상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Face Stimulus Assessment(FSA) response between depressed and
non-depressed children and FSA test as a discriminant tool for depression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201 students from fourth to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Ci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and FSA test was conducted and depressed and non-depressed groups were separated by depression score
19. Cross-tabulation test(Chi-square 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FSA response
difference. On stimulus drawing I,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prominence of color, color fit,
implied energy, realism, development level, line quality, emotional contents, and space using. The
assessment items of the FSA drawing I showed a total discriminant power of 67.7%. On stimulus drawing
II,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prominence of color, color fit, implied energy, developing level,
details of object, and space using. The assessment items of the FSA drawing Ⅱ showed a total discriminant
power of 66.7%. On stimulus drawing III, color fit, implied energy, and details of objects were significant
variables and the discriminant power was 56.2%. This paper suggests that FSA can be used as an assistance
to discriminate children depress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의 삶의 질에 따른 길 그림 반응특성 연구
-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회상기능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인식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자녀 어머니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불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 성격진단도구로서 만다라의 색채상징 활용가능성 연구
- 아동의 애착유형별 동적가족화(KFD) 반응 특성 연구
- 아동의 우울과 얼굴자극검사(FSA) 반응 특성의 관계
- 의미치료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일상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 및 자기표현의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 인지적 미술치료가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인지심리학을 적용한 미술심리투사의 과학적 모델(SM-APP)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