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416
- 영문명
- A Study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Major of Music College Student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홍지연(Hong, Jee-You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2호, 265~29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악대학생의 전공별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차이 분석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서울, 수도권 및 대전지역의 대학교를 선정하여 음악전공분야별 전공생을 모집단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260부의 설문을 빈도분석, 타당도 및 신뢰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이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선택동기 차이분석 결과, 환경적, 개별적 요인에서만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만족도 차이분석결과, 인식만족, 관계만족, 수업만족 요인에서만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진로성숙도 차이분석 결과 진로성숙도 모든 요인에서 전공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n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major of music college student. Univers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Daejeon City were selected as unit of analysis from population of music majors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then a total of 260 respondents’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one way ANOVA, and Duncan post hoc test were conducted. The findings showed as follows. First,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on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ccording to major of music college student was analyzed, and differences among majors on both the Circumstance factor and individual factor wer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on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major of music college student was analyzed, and differences among majors on recognition satisfaction factor, relationship
satisfaction factor wer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lthough whether there was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major of music college student was analyzed, differences on all factors among majors wer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목차
Ⅰ.서론
Ⅱ.연구방법
Ⅲ.연구결과
Ⅳ.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서양음악사 서술 방식 및 내용 구성 고찰
- 하브루타 음악 수업 시 학생의 질문 유형 특성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 학습의 매개로서의 음악점자의 활용을 위한 다양식성의 역할
- An Investigation of Field-based Experiences for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Massachusetts: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Strategies Governing Field-based Experiences for Music Teacher Candid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 한․중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 비교 연구 -한국 미래엔 본과 중국 人民音樂出版社본을 중심으로-
-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초등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
- 중학교 음악수업을 위한 북한음악 선호도 분석
-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대안교육과 대안학교에서의 음악수업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